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사와의 만남: 하인리히 베드포드-스트롬

by 파레시아 2025. 4. 4.

Paul S. Chung’s Interview with Bishop Dr. Heinrich Bedford-Strohm

 

 

https://www.oikoumene.org/about-the-wcc/organizational-structure/presidents-and-leadership/bishop-dr-heinrich-bedford-strohm

 

Meet Heinrich Bedford-Strohm

하인리히 베드포드-스트롬과의 만남

 

In this publication, Paul Chung interviews Bishop Dr. Heinrich Bedford-Strohm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Bavaria.  Bishop Bedford-Strohm is now serving as the moderator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e at Forum-Center’s International Public Theology are excited to collaborate with Dr. Bedford-Strohm to advance public theology, civil society, eco-justice, and human rights for a more just democratic society.  

 

이 소개의 글에서 나는 바이에른 주 복음주의 루터교회의 하인리히 베드포드-스트롬 주교이며 교수를 인터뷰합니다. 베드포드스트롬 주교는 현재 세계교회협의회 총의장으로 재직 중입니다. 포럼-센터의 국제 공공 신학팀은 더 공정한 민주 사회를 위해 공공 신학, 시민 사회, 생태 정의, 인권을 증진하기 위해 베드포드-스트롬 의장과 협력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하인리히 베드포드-스트롬은 독일의 개신교와 유럽의 공공신학의 대표의장으로서 버클리 포럼-센터의 수석 자문으로 봉사하고 있습니다.  

 

This collaboration has become urgent because of the current crisis. The Ukraine War coupled with the pathology of late capitalism in the neoliberal economic system, as well as the Israel-Hamas war and the State of Israel’s anti-Arabic policies in Palestine, have brought us to a critical point. To be more specific, in the shadow war among Jews, Muslims, and Christians, Abrahamic dialogue has become the most significant agenda for peace, love, and mutual recognition. This global political situation has become more serious and even dangerous in the aftermath of Trump 2 administration and MAGA.   

 

이러한 유럽과 미국의 협력은 현재의 위기 때문에 시급합니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신자유주의 경제 시스템에서의 후기 자본주의 병리학, 그리고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이스라엘 국가의 팔레스타인 내 반-아랍 정책이 결합되어 우리를 중대한 지점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유대인, 무슬림, 기독교인들 사이의 그림자 전쟁에서 아브라함적 대화는 평화, 사랑, 상호 인정을 위한 가장 중요한 의제가 되었습니다. 트럼프 2기 정부와 MAGA 정책은 세계의 파시즘 현상으로 출현 합니다.

 

Bedford-Strohm attended the universities of Erlangen, Heidelberg, and Berkeley to study political science, religion, law and history. He tenured on the faculty at the University of Bamberg from 2004 until 2011. During this period he served as the head of the Dietrich Bonhoeffer Research Center for Public Theology. In 2011, he became Bishop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Bavaria, and he also served as Chairperson of the Council of Protestant Churches in Germany from 2014-2021.

 

베드포드-스트롬은 정치학, 종교, 법학, 역사학을 공부하기 위해 에를랑겐, 하이델베르크, 버클리 대학에서 수학했습니다. 그는 2004년부터 2011년까지 밤베르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디트리히 본회퍼 공공 신학 연구 센터의 소장으로 재직했습니다. 2011년에 그는 바이에른의 복음주의 루터교회 주교가 되었고,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독일 개신교회 협의회 의장으로 활동했습니다.

 

He is an honorary professor for systematic theology and contemporary theological issues at the University of Bamberg and also an honorary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Stellenbosch, South Africa. His ecumenical research project is featured for its cross-disciplinary nature and its robust engagement across a diverse spectrum of issues punctuated by his keen interest in life-sciences and biotechnology.

 

그는 뱀베르크 대학교에서 조직신학과 현대 신학 문제에 대한 명예 교수이며, 남아프리카 스텔렌보스 대학교의 명예 교수이기도 합니다. 그의 생태학적 연구 프로젝트는 생명과학과 생명공학에 대한 그의 깊은 관심으로 특징되며,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강력한 참여와 학제 간 성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Dr. Bedford-Strohm incorporates sociology and other human sciences, emphasizes ethical responsibility, and renews social structure in line with the biblical prophetic tradition of Christian faith even as he addresses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of today’s global situations. These emphases suggest that Christianity should offer ethical guidance to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of the present such as immigration, refugee asylum, including trustful ecological orientation to the climate change in the era of Antropocene.  

 

베드포드-스트롬 박사는 사회학과 기타 인문 과학을 통합하고, 윤리적 책임을 강조하며, 오늘날의 글로벌 상황에서의 어려움과 도전 과제를 다루면서도 기독교 신앙의 성서적 예언의 전통에 따라 사회 구조를 갱신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강조점들은 기독교가 이민, 난민 망명, 그리고 인류세 시대의 기후 변화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생태학적 지향을 포함하며, 현재의 사회 정치적 문제들에 윤리적 지침을 제공합니다.

 

Because Racial hierarchy within social stratification and cultural pluralism—as evidenced by the present Immigration policies in the USA and Europe—are characteristics of Western culture, the work of Bedford-Strohm has become even more significant. Indeed, the sociobiological resurgence of old social Darwinism which finds its thrust in Richard Dawkin’s selfish gene and Edward Wilson’s genetic determinism has created fertile ground for the resurgence of the Far Right. This ideology is permeating East Asian culture, instigating collective behavior of racial nationalism and endangering both the civil society and democracy.   

 

사회의 계층화와 문화적 다원성에서 인종적 위계질서—현재 미국과 유럽의 이민 정책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는 서구 문화의 특징으로 인해, 베드포드-스트롬의 작업은 더욱 중요하게 수용됩니다. 실제로,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와 에드워드 윌슨의 유전적 결정론에서 추진력을 찾는 낡은 사회 다윈주의적 사회 생물학의 부활은 극우의 재발을 위한 비옥한 토양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이데올로기는 동아시아 문화에 스며들어 인종 민족주의와 집단 행동을 유도하며, 시민 사회와 민주주의를 위협합니다.

 

Public theology must urgently consider an alternate form of social integration of late modern society. We must turn toward inclusive democracy, politics of recognition,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to address these contemporary circumstances. Its stance must take into account the meaning of the world and existence in light of the biblical testimony and Christian heritage, amplifying its capacity for social formation, advocacy for the poor, emancipation for a democratic society, and ecological integrity. 

 

공공 신학은 긴급하게 후기 현대 사회의 대안적 사회 통합 형태를 고려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현대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포용적 민주주의, 인정의 정치, 그리고 생태적 지속 가능성으로 나갑니다. 이러한 입장은 성서의 증언과 기독교 유산을 비추어 세상과 존재의 의미를 고려해야 하며, 사회 구성,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옹호, 민주주의 사회의 해방, 생태적 온전성을 위한 능력을 증대시켜야 합니다.

 

 

Appreciation

 

Bishop Dr. Heinrich Bedford-Strohm is committed to actualizing ecumenical public theology of liberation for a democratic society thr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with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scientific technological achievements.

 

His areas of interest include distributive justice, reclaim prophetic thought, and provide the foundation for ethically responsible direction for the policy-making process, while reinforcing compassionate ethics for the underprivileged in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In his prophetic portrait of public theology of bilingualism in connection to political ethics and theology of hope, Bedford-Strohm draws on the political ethical tradition that extends from Luther to Karl Barth and Dietrich Bonhoeffer.    

 

He elaborates on the multilingual nature of public theology, the Church’s prophetic diakonia for civil society, democracy, and the integrity of the common life of the world. His contribution resides in a public theology of liberation for democratic society.

 

In recent works, Bedford-Strohm is the most prolific academic who acknowledges the legacy of Wolfgang 

Huber and critical public theology. He revitalizes Dietrich Bonhoeffer for African Christian theologies 

by furthering critical public theology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Reformation. His theological perspective 

aligns with Reconciliation and Just Peace, highlighting Bonhoeffer's profound insights relevant to the European and African contexts.

 

감사와 인정


하인리히 베드포드-스트롬 의장은 인문학, 사회과학, 과학 기술 성과와의 학제간 대화를 통해 포괄적인 민주주의 사회를 위한 해방의 공공 신학을 실현하는 데 전념합니다. 그의 관심 분야에는 분배 정의, 예언적 사고의 회복, 정책 결정 과정에서 윤리적으로 책임 있는 방향을 제공하는 것, 더 나아가 유대-기독교 전통에서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연대 윤리를 강화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그의 예언적인 이중언어 공공 신학에서 정치 윤리와 희망의 신학과 연결되며, 베드포드-스트롬은 마틴 루터에게서 칼 바르트와 디트리히 본회퍼에 이르는 정치 윤리 전통을 돌출합니다. 그는 공공 신학의 다언어적 특성, 시민 사회를 위한 교회의 예언자적 디아코니아, 민주주의, 그리고 세계 공동체의 통합성을 전개합니다. 그의 기여는 민주주의와 시민 사회를 위한 해방의 공공 신학 입니다.

최근 작품에서 베드포드-스트롬은 볼프강 후버의 유산을 이어가는 매우 다양한 저술을 내는 학자입니다. 그는 볼프강 후버와 비판적 공공 신학, 그리고 칼 바르트와 디트리히 본회퍼를 재조명합니다. 개혁의 영향을 통해 비판적 공공 신학을 발전 시킴으로써 그의 신학적 관점은 화해와 정의로운 평화와 일치하여, 유럽과 아프리카 맥락에 관련된 본회퍼의 깊은 통찰을 강조합니다.

 

Publications (recent works select)

 

Kritische Öffentliche Theologie. Wolfgang Huber zum 80. Geburtstag, Leipzig 2022 (hg. zus. mit Peter Bubmann, Hans-Ulrich Dallmann und Torsten Meireis)

Liberation Theology for a Democratic Society: Essays in Public Theology, ed. Michael Mädler and Andrea Wagner-Pinggera. Zürich: LIT Verlag, 2018.

African Christian Theologies and the Impact of the Reformation. Symposium PIASS Rwanda February 18-23, 2016, Wien/Zürich 2017 (hg. zus. mit Tharcisse Gatwa, Traugott Jähnichen und Elisée Musemakweli)

Reconciliation and Just Peace. Impulses of the Theology of Dietrich Bonhoeffer for the European and African Context, Wien/Zürich 2016 (hg. zus. mit Pascal Bataringaya und Traugott Jähnichen).

Alles ändert sich. Die Welt im Licht von Weihnachten. Patmos, Ostfildern, 2016.

Lebendűrfen—Leben műssen. Argumente gegen die Sterbehilfe. Munich, 2015.

Position beziehen. Perspektiven einer ȍffentlichen Theologie. Munich, 2012.

Gemeinschaft aus kommunikativer Freiheit. Sozialer Zusamenhalt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Ein theologischer Beitrag. Gűtersloher Verlags-Haus, Gűtersloh, 1999.

Vorrang fűr die Armen. Auf dem Weg zu einer theologischen Theorie der Gerechtigkeit. Gűtersloher Verlags-Haus, Gűtersloh, 1992.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