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론장4

Postscript: 공공신학 강연회 By 정승훈 박사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 원장)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에서 개소식 강연회를 잘 마쳤다. 능력있는 발제자들이 매우 진지하고 성실하게 주제들을 다루어주셨다. I. 기조발제: 채수일 교수, 공공신학의 좌표 설정 기조발제에서 채수일 교수 (경칭 생략)는 공공신학의 좌표를 설정하고 서구에서 위르겐 몰트만과 요한 뱁티스트 메츠의 정치신학과의 연계를 지적하고, 또한 국내에서 다루어지는 공론장의 문제를 매우 설득력있게 언급했다. 유럽에서 볼프강 후버가 교회와 공공성에대한 매우 중요한 시도를 했고, 북미에서는 막스 스택하우스에 의해 전개되었다. 공공신학이 이름 그대로 공공선이나 공적영역의 일들(res publica)을 다룬다는 점에서 공공신학의 외연은 확대될 수 가 있고 시민사회 전 영역에 걸친.. 2023. 6. 2.
채수일 기조발제: 공공신학의 스펙트럼과 전망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센터 창립기념 강연회 2023년 5월 30일(화) 오후 3시/ 한신대학교신학대학원 공공신학의 스펙트럼과 전망 / 채수일 박사(전 한신대학교총장/크리스챤 아카데미 이사장) 1. 먼저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센터’(이하 공공신학센터)의 창립을 기념하는 강연회가 한신대 신대원에서 열리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오늘의 기념강연회를 준비한 칼 바르트 센터 소장 임창세 박사님과 시카고 루터신학대학원 석학교수인 정승훈 박사님, 장소를 협조해주신 한신대학교 강성영 총장님과 전철 신대원장님에게 감사드립니다. 한신대학교는 일찍이 ‘평화와 공공성 센터’를 세워, 남북, 동북아시아의 평화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 활동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공공신학센터’는 지금까지 신학과 사회과학의 대화를 통한 ‘공공신학.. 2023. 3. 30.
정승훈 발제(2): 하버마스와 벤야민 하버마스와 벤야민의 계보학하버마스에 의하면, 벤야민은 역사철학에서 메시야 이념안에서 과거가 구원을 필요한다고 본다. 벤야민은 역사를 영향사의 지속성에서 파악하는 하이데거 해석학에 긍정하지 않는다. 벤야민의 역사철학은 진보신념에 저항하는 반-진화론적인 입장에 서 있다 ("Walter Benjamin", 347). 진보사상은 벤야민에게는 참을 수 없는 것이며, 묵시적인 재난과 파국에 직면하며, 구원을 필요로한다. 벤야민은 메시야가 개입하는 지금시간(Jetztzeit)을 통해 역사를 충만하게 한다. 모든 세대마다 희미한 메시야적 능력이 더불어 존재한다 (ibid., 348). 벤야민은 괴테의 소설 에 대한 그의 비평에서 내재적 비판을 개념화한다. 예술작품의 진리내용은 문학작품의 근저에 놓여있고, 문학의 외적인.. 2023. 3. 29.
정승훈 발제(1): 비판이론과 종교 정승훈 신학(스위스 바젤대학ㅡ칼 바르트와 헤겔연구)과 사회학(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및 대학ㅡ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연구)전공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 (전임강사) 워트버그 신학대학원 (조교수) 미네소타 루터신학대학원 (부교수) 시카코 루터신학대학원 (석학교수)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센터 원장 사회학적 사유와 고고학적 해석 미디어 저널 (티스토리) 편집장으로 역사사회학과 공공신학 그리고 국제정치에 대한 글을 쓰고있다. 공공신학적 반성: 위르겐 하버마스와 발터 벤야민하버마스는 1962년 교수자격취득 논문 에서 시민사회의 중요성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하고, 근대성의 미완의 과제를 언급했다. 그러나 그의 책은 1989년에 비로소 영어로 번역되었다. 27년이 지나 늦게 번역한 것은 공론장의 구조변동과 시민사회에 대한 하버마스의.. 2023. 3. 29.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