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3 채수일 기조발제: 공공신학의 스펙트럼과 전망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센터 창립기념 강연회 2023년 5월 30일(화) 오후 3시/ 한신대학교신학대학원 공공신학의 스펙트럼과 전망 / 채수일 박사(전 한신대학교총장/크리스챤 아카데미 이사장) 1. 먼저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센터’(이하 공공신학센터)의 창립을 기념하는 강연회가 한신대 신대원에서 열리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오늘의 기념강연회를 준비한 칼 바르트 센터 소장 임창세 박사님과 시카고 루터신학대학원 석학교수인 정승훈 박사님, 장소를 협조해주신 한신대학교 강성영 총장님과 전철 신대원장님에게 감사드립니다. 한신대학교는 일찍이 ‘평화와 공공성 센터’를 세워, 남북, 동북아시아의 평화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 활동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공공신학센터’는 지금까지 신학과 사회과학의 대화를 통한 ‘공공신학.. 2023. 3. 30. 공공신학과 안병무의 오클로스 (18) 왜 공공신학에 심원 안병무는 살아 있는가?필자는 조직신학과 역사 사회학을 전공한 사람이다. 특히 칼 바르트의 교의학을 사회학과 성서주석을 통해 공부한 사람이어서 불트만의 전통에 서 있는 심원과는 먼 거리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먼 거리는 존경의 표시일 수가 있다. 필자가 서구의 학계를 전전하면서 만난 대가들은 한결같이 학문과 진리에 겸손했고 진리와 자유 그리고 해방에 관한 한 파레시아를 하는 분들로 기억한다.수유리 대학원 시절 심원 선생의 사랑을 많이 받았지만 그분의 탁월한 비평학과 성서해석을 이해하기에 너무도 역부족이었다. 심원의 비평학을 이해하기위해 바르트의 성서해석과 불트만의 에는 나의 손 때가 묻어있다. 이 두 학자를 돌아서 나는 심원에게 비판적 배움을 얻길 원했다. 나는 민중 신학자가 아니라 .. 2023. 2. 9. 고고학적 해명: 누가ㅡ바울(13) 고고학적 해명은 양식사 비평(원자료)에서 편집사 비평 (복음서의 기자들의 신학)에 이르는 전승사를 고고학적으로 해명한다. 원자료와 나사렛 예수의 본래적 관계를 해명할 때 복음서의 "예수문서들" 에 초점을 맞추고 여기에 담겨져있는 이스라엘 이디엄과 묵시문학적 지평을 당대 팔레스타 유대교와 비교분석한다. 고고학적 접근은 복음서에서 나사렛 예수에 대한 증언에서 나타나는 다름과 단절 또는 변형을 일으킨 배경을 두텁게 기술한다. 이것은 권력관계에 기초한 푸코의 고고학의 불연속성보다는 나사렛 예수의 전승자료들의 다양성과 차이에 주목하고 이것을 해석한 편집자의 신학에 주목한다. 이러한 고고학적 접근은 불트만의 아포테그마타를 기초로 역사적 예수와 초대 공공체의 신약성서의 기본적인 파열이 데카르트적 개인주의적 의심으로 .. 2023. 2. 8. 이전 1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