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승훈3

Postscript: 공공신학 강연회 By 정승훈 박사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 원장)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에서 개소식 강연회를 잘 마쳤다. 능력있는 발제자들이 매우 진지하고 성실하게 주제들을 다루어주셨다. I. 기조발제: 채수일 교수, 공공신학의 좌표 설정 기조발제에서 채수일 교수 (경칭 생략)는 공공신학의 좌표를 설정하고 서구에서 위르겐 몰트만과 요한 뱁티스트 메츠의 정치신학과의 연계를 지적하고, 또한 국내에서 다루어지는 공론장의 문제를 매우 설득력있게 언급했다. 유럽에서 볼프강 후버가 교회와 공공성에대한 매우 중요한 시도를 했고, 북미에서는 막스 스택하우스에 의해 전개되었다. 공공신학이 이름 그대로 공공선이나 공적영역의 일들(res publica)을 다룬다는 점에서 공공신학의 외연은 확대될 수 가 있고 시민사회 전 영역에 걸친.. 2023. 6. 2.
공공센터 개소식 강연회 즈음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e-pLnREmN9E 지나온 시간을 회고 하면서 5월 30일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 개소식 강연회가 수유리에 소재한 한신대 신대원 컨벤션 홀에서 열립니다. 5년 전 쯤으로 생각합니다. 모국의 교회와 신학을 위해 무슨 봉사를 할 수 있을까 기도하다가 떠오르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칼 바르트의 대작 에 담겨져있는 성서해석과 교리신학 그리고 사회학적인 차원을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을 위해 소개하는 것이었습니다 지나온 시간을 돌이켜 보면 감사한 분들이 많습니다. 제가 원장 직을 맡고 있지만 미국에서 활동하는 바람에 국내 센터의 발전을 위해 이사장님 (이종원 목사: 평택 장로교회)과 소장님 (임창세 목사: 용산 제일교회)의 수고가 컸습니다. 무엇보다 더 이종.. 2023. 4. 7.
정승훈의 학문 여정ㅡ바젤과 버클리에서 정승훈은 스위스 바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유학 당시(위 사진에서 보는 것 처럼) 학생들은 라인강 사이에 위치한 현대화된 바젤(큰 바젤로 사람들은 불렀다)에서 옛 도시 바젤 (작은 바젤)로 조그만 페리를 타고 학교에 등교했다. 바젤은 종교개혁의 도시이지만 에라스무스의 인문학적 영향이 서려있고, 라인강을 굽어보는 유서 깊은 뮌스터 교회에는 그의 묘지가 있다. 이곳에서 정승훈은 칼뱅과 바르트의 신학에 몰두했다. 그는 헬무트 골비처와 프리델 마르크바르트의 칼 바르트 해석과 헤겔좌파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마쳤다. 이후 버클리 주립대학 사회학과와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칼뱅과 막스 베버, 바르트 신학을 현상학적 해석학과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연구논문을 마쳤다. 버클리 대학안에 세워진 시계탑은 그에게 시대를 선도하.. 2023. 2. 3.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