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묵시문학3

다니엘의 "인자같은 이"와 예수(28) "인자와 같은 이" 다니엘서는 묵시의 지혜자로 간주된다 (단 2:48). 지혜는 신적인 카리스마를 담고 있으며 고대 이스라엘의 전통, 특히 요셉의 꿈 해석에서 볼 수 있다 (창 41). 예언문헌이 이스라엘 역사에 직접적인 야훼의 개입과 회개를 촉구 한다면, 묵시문헌은 모든 역사적 과정을 보편적 인 야훼주의 틀에서 객관화시키고 개념화한다. 예언의 메세지가 구원사에 초점이 있다면, 구원사는 더 이상 역사결정론적인 묵시적 세계관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일종의 인식론적 파열이 일어난다 ( Von Rad, Old Testament History II, 303). 다니엘 7장 13절의 인자와 같은 이는 히브리어의 벤 아담이나 아람어의 벤 에노쉬(ben-enosch, 시편 8:4)로 이해된다. 벤 아담의 복수형(베니욤.. 2023. 3. 18.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5) 바리새파는 누구였나 출바벨론의 역사적인 경험과 신명기적인 파라다임은 출애굽 사건을 해석하고 토라와 예배와 절기를 통해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 특징짓는다. 이것은 바리새파의 기원을 에스라가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귀환 할 때 동행한 그룹으로 보게도 한다 (The Talmud, trans. Bokser, 9). 그러나 마카베오에 의해 세워진 하스모니안 왕가에서 바리새파의 기원을 보는 것이 역사적으로 보다 더 정확하다. 이 그룹은 알렉산더 야네우스 통치시절 (기원전 102-76) 헬레니즘 정책에 반란을 일으켰다.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그의 아내 살로모 알렉산드라 (76-67)가 권력을 계승헸을 때 바리새파를 우대하는 정책을 썼다. 하스모니안 왕가와 바리새파 저항 정치적 발전을 고려할 때 하스모니.. 2023. 3. 1.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4) 성서의 내적역사: 예레미아의 새 언약 예례미아의 새 언약은 이사야서 53장의 고난받는 종의 예언과 다니엘의 인자 메시아와 더불어 복음서와 사도바울의 화해의 복음에서 중심의 자리를 갖는다. 마틴 노트가 신명기 학파 이론을 제시한 이후, 예례미아에 대한 연구는 신명기적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신명기 사가들이 포로기에서 현재 예례미아 텍스트를 최종적으로 손질하고 편집했다면, 그것은 토라 중심적이며 야훼이스트 입장을 갖는다. 이러한 인식론적 태도는 핵심담론 또는 주제(Sache)의 빛에서 예례미아를 이해하는 방법일 수가 있다. 이것은 예례미아 본문에서 애매함이나 해명을 요구하는 영역에서 본래의 이념으로 등장하고 해석을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예례미아 텍스트는 자신의 독특한 생활세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 2023. 3. 1.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