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막스 베버3

임창세 발제(2) - Max Weber 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베버는 칼빈의 구원론과 소명론이 칼빈의 후예인 청교들에게 이어져서 자본주의를 탄생시켰다고 주장한다. 칼빈신학에서 예정론이 차지하는 위치는 논란의 대상이다. 왜냐하면 칼빈의 저술에서 예정론은 각각 다르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베버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칼빈 신학의 두드러진 특징을 예정론으로 보았다. 특히 도르트레히트 종교회의와 웨스터 민스터 종교회의에서는 당시에 거세게 불고 있던 문예부흥 혹은 문화투쟁을 분쇄하기 위해서 예정론이 더욱 강조되었다. 베버에 따르면 예정론은 하나님의 절대성과 초월성을 더욱 강조하는 결과를 낳았다.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청교도의 구원과 하나님 이해는 성경의 메시지와 거리가 있다. 베버에 따르면 청교도적 예정론을 통해서 전해지는.. 2023. 4. 5.
새로운 패러다임: 역사사회학-문헌비평(27) 데이비드 플루서와 나사렛 예수 예루살렘 히브리대학의 저명한 성서학자인 데이비드 플루서는 연구에서 역사적 예수는 2차 예루살렘 유대교의 신앙의 세계 안에서 살았음을 말한다. 그리고 공관복음은 역사적으로 신뢰할 만한 증거임을 확인한다. 에른스트 케제만의 묵시문학적 예수연구와 더불어 플루서의 유대인 예수에 대한 연구는 불트만의 공관복음의 케리그마 신학이나 편집사 비평의 한계를 넘어선다. 흥미로운 것은 플루서는 누가의 특수자료에서 역사적인 예수에 대한 오리지널 전승을 보기도 한다. 이것은 슈테게만과 쇼트로프의 에 대한 사회사적 접근과 비슷하다. 누가는 십자가에 처형당한 예수에 대해 백부장과 주변의 무리들의 안타까움, 그리고 예수를 아는 사람들과 갈릴리에서 예수의 여성제자들 (누 23: 47-49)을 보도한다. .. 2023. 3. 1.
막스 베버의 유대교: 폰 라트와 칼 바르트(26) 베버의 유대교 연구 성서적 유대교에 대한 베버의 사회학적 연구는 구약성서에 대한 전승사와 편집비평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베버는 당대 팽배했던 반유대주의자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해서 종교 다원주의자도 아니었다. 그의 사회학적 연구는 성서적 유대교의 문화 정치적 배경을 검토하고, 성서해석의 새로운 모델을 열어주었다. 베버는 유대인을 고대 팔레스티나 를 둘러싼 문명에서 주변부 백성으로 파악했다. 베버는 벨하우젠의 오경연구를 비판적으로 수용했다. 벨하우젠은 헤겔의 역사 진화론적인 모델을 기초로 사제문서 (P)를 성서적 유대교의 역사적 발전의 최종 단계로 보았다. 이어서 그는 랍비 유대교를 사제문서에 근거한 유대교의 화석화된 변질형태로 비판했다. 이것은 벨하우젠의 전형적인 반유대적 입장을 보여준다. 그러나 베버.. 2023. 2. 22.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