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슈미트5 <리바이어던>: 한나 아렌트와 칼 슈미트(5) 토마스 홉즈의 토마스 홉즈의 은 욥기 40장과 41장에 나오는 짐승의 이름을 부치고있다. 욥기에 나오는 신화론적 짐승 리바이어던은 바빌로니안 신화에 나오는 티아마트와 관련되고 바빌론의 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사 27:1). 리바이어던이 바다의 용처럼 그려진다면, 베헤못은 거대힌 뿔을 가진 땅의 짐승이다. 베헤못이 땅의 지하의 세계를 상징한다면, 리바이어던은 요한 계시록에서 묵시적인 짐승들인 용이나 엣뱀에 가깝다. 묵시적 짐승들은 무저갱에서 올라오거나 바다에서 출현한다. 미가엘 천사는 이들과 하늘에서 전쟁을 벌이기도 한다 (계 12). 홉즈의 은 신화론적인 짐승을 상징해서 그런지 진의가 쉽게 오해될 수가 있다. 헤겔은 홉즈의 만인대 만인의 투쟁을 수용하지만 국가이념을 인륜적으로 파악하고, 파시즘의 국가와.. 2023. 7. 1. 양운덕 발제 (3): 메시아의 문과 카테콘 프란츠 카프카와 메시아의 문 * 어떻게 법의 문을 닫을 수 있는가? 이런 과제 앞에서 (의미 없지만 유효한) 법의 문을 닫기 위한 시도를 카프카의 경우를 통해서 살펴보자. 이것은 벤야민이 메시아적인 과제를 카프카의 알레고리와 연결시키는 시도의 하나로서, 카프카의 단편 「법 앞에」를 메시아적인 법과 관련해서 독해하는 작업이다. 이것은 벤야민의 카프카 읽기를 아감벤의 틀로 구체화시킨 것이다. (PP 267-270/172-174) 「법 앞에」는 “법의 문 앞에 문지기가 서있고 시골 남자가 들어갈 수 있는지 묻고 허락을 기다리면서 수년간 기다리다가 결국 쓰러지는데, 그때에서야 문지기는 그 문이 ‘그만을 위한 문’이었다고 일러주는”(PP 267/172) 내용이다. 이 우화는 매시아적 시기, 곧 의미 없이 효력을 .. 2023. 4. 22. 양운덕 발제 (2): 발터 벤야민ㅡ메시아적인 것과 예외 상태 벤야민의 ‘현실적인’ 예외 상태와 메시아적인 것 아감벤은 벤야민이 제안하는 ‘참된wirklich’ 예외 상태의 특성과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 그의 새로운 메시아적 사고의 이론적 바탕을 재구성한다 아감벤이『예외 상태』에서 보여주었듯이 슈미트와 벤야민은 예외 상태, 순수한 폭력과 법질서 간의 관계를 두고 상이한 틀을 제시한다. 벤야민은 슈미트의 예외 상태가 지배 예속 관계를 정당화한다고 보고 다른 예외 상태를 제안한다. 이것은 슈미트처럼 아노미를 종식시키는 질서가 아니라 메시아적 해방을 추구한다. * ‘참된’ 예외 상태 벤야민은 「역사 개념에 관하여」의 8번 테제에서 예외상태를 특이한 방식으로 언급한다. “억압받는 자들의 전통은 우리에게 우리가 살아가는 ‘예외 상태’가 규칙임을 가르쳐준다. 우리는 이런 사실.. 2023. 4. 21. 정승훈 논찬: Katechon과 메시야 칼 슈미트와 조르지아 아감벤 사도 바울의 카테콘(katechon)과 정치신학은 독일의 법학자인 칼 슈미트에 의해 발전되었다. 카테콘은 억제하는 자란 뜻이며 데살로니가전서 2장 6-7절에서 나타난다. 정치철학에서 홉즈의 국가이론(리바이어던)은 슈미트에게 묵시적 차원에서 무질서를 억제하는 카테콘 정치로 출현한다. 칼 슈미트는 에서 국가주권을 사법적인 틀을 넘어서서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지배와 정치적 결단주의를 강조했다. 그리고 에서 사탄의 세력을 억제하는 카테콘을 로마제국과 이에 결부된 카톨릭으로 보았다. 슈미트는 1933년 나치정당에 가입했고, 1945년까지 베를린 대학의 법학 교수로 재직했다. 전 후 아우슈비츠 문제와 교회와 국가의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정치신학의 모델이 독일에서 위르겐 몰트만과 요한 뱁티.. 2023. 3. 29. 이전 1 2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