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공공신학과 성서해석7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7) 사회학적 편집 비평과 동시대화 나의 사회학적 비평은 구약성서를 주석할 때 일차적으로 전승사와 신앙고백을 파악한다. 이것은 성서의 내적 역사에 속하며, 근대의 실증주의에 기초한 역사비평이 파악하기 어렵다. 역사 비평에서 유비의 원리는 모든 역사적 사건들이 동일하다는 전제를 하지만, 그러나 유비는 히브리적 역사적 사유와 야훼 신앙과의 계약적 관계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야훼는 플라톤의 신과 다르다. 선의 이데아가 플라톤의 신이다. 신의 개념을 규정하는 것은 선의 의미이며, 신은 완벽한 자기 충족적이며 이외의 다른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신이 절대적 자기 충족의 존재라면, 신은 세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인간은 선의 이데아 또는 이념의 현상에 참여한다 (metexis).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신은 부동의 동.. 2023. 3. 18.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6) 랍비 유대교와의 대화: 예수와 바울 창조가 선한 것은 역사의 의미에 대한 믿음의 확인이며 구원사를 말한다. 야훼는 자연에서 아니라 계약에서 인간을 만나신다. 우리는 야훼를 성서의 배후에 있는 역사적인 삶의 자리가 아니라, 성서 안에서 믿음의 증거들을 통해 이해하고 해석한다. 더 나아가 구약의 예언과 약속은 신약성서에서 아직 성취되지않는 남겨진 것들이 존재한다. 구약의 약속들은 여전히 오늘날 중요 하며, 이스라엘은 기독교에 의해 대체되지 않는다. 이것은 오늘날 기독교와 유대교와의 대화의 중심으로 들어온다 (Miskotte, When the Gods are Silent, 148, 154, 170). 랍비 유대교의 신학과의 대화는 중요하다. 유대인 성서신학자 데이비드 플루서는 초대 기독교와 2차 예루살렘 성전.. 2023. 3. 18.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3) 편집사 비평의 사회학적 전망 전승사는 성서자료층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부각시키며 역사비평의 성과들 (본문비평, 자료비평, 양식비평, 편집비평 등)과 힘께 고고학적 발견을 포함시킨다. 물론 중요한 것은 양식 비평의 성과물들이며, 이것은 한 본문의 최초 단위가 구전적 장르 (이야기, 격언. 시편,신탁 등)에서 추적하며, 특별한 내용의 구전장르가 어떻게 가정이나 사회교육 또는 예배와 같은 삶의 자리에서 되풀이 되는 지를 본다. 그리고 전승비평과 더불어 사회학적 관심을 가진 해석가에세 세대와 세대를 거치면서 각각 다른 사회적 조건과 정치적 상황에서 자료의 전승과정과 의미 지평의 확대를 보게한다. 히브리 성서의 연대는 70인역이나 사마리아 오경과도 다르다. 창세기의 연대는2000년 이상 이지만, 신명기는 겨우 2.. 2023. 3. 10.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2) 전승사와 신앙고백 이스라엘의 역사는 하나님의 말씀의 역사적 개입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자료와 양식비평은 자료 전승의 역사를 추적하는 도구가 되는데, 여기서 게르하르트 폰 라트의 연구가 중요하다. 하나님의 구원사는 단순한 역사적 보도라기 보다는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은혜에 대한 신앙고백이며 신학적인 반성을 담고있다. 복음서가 예수의 역사적 삶을 등한시하지 않지만 신학적인 편집을 담고 있듯이, 가장 오래된 시내산 전승의 ‘삶의 자리’도 야훼의 계시에 대한 반복되는 제의적인 수행에서 드러난다. 폰 라트는 역사 비평이 이스라엘 역사에 접근하는 유일무이한 학문적 방법이라고 간주하지 않는다. 이것은 근시안적인 견해다. 전승자료들에서 역사적이고 실제적인 것은 정신적인 의미와 분리될 수 없다. 살아계신 야훼에 대한.. 2023. 3. 9. 이전 1 2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