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터 벤야민5

양운덕 발제 (3): 메시아의 문과 카테콘 프란츠 카프카와 메시아의 문 * 어떻게 법의 문을 닫을 수 있는가? 이런 과제 앞에서 (의미 없지만 유효한) 법의 문을 닫기 위한 시도를 카프카의 경우를 통해서 살펴보자. 이것은 벤야민이 메시아적인 과제를 카프카의 알레고리와 연결시키는 시도의 하나로서, 카프카의 단편 「법 앞에」를 메시아적인 법과 관련해서 독해하는 작업이다. 이것은 벤야민의 카프카 읽기를 아감벤의 틀로 구체화시킨 것이다. (PP 267-270/172-174) 「법 앞에」는 “법의 문 앞에 문지기가 서있고 시골 남자가 들어갈 수 있는지 묻고 허락을 기다리면서 수년간 기다리다가 결국 쓰러지는데, 그때에서야 문지기는 그 문이 ‘그만을 위한 문’이었다고 일러주는”(PP 267/172) 내용이다. 이 우화는 매시아적 시기, 곧 의미 없이 효력을 .. 2023. 4. 22.
양운덕 발제 (2): 발터 벤야민ㅡ메시아적인 것과 예외 상태 벤야민의 ‘현실적인’ 예외 상태와 메시아적인 것 아감벤은 벤야민이 제안하는 ‘참된wirklich’ 예외 상태의 특성과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 그의 새로운 메시아적 사고의 이론적 바탕을 재구성한다 아감벤이『예외 상태』에서 보여주었듯이 슈미트와 벤야민은 예외 상태, 순수한 폭력과 법질서 간의 관계를 두고 상이한 틀을 제시한다. 벤야민은 슈미트의 예외 상태가 지배 예속 관계를 정당화한다고 보고 다른 예외 상태를 제안한다. 이것은 슈미트처럼 아노미를 종식시키는 질서가 아니라 메시아적 해방을 추구한다. * ‘참된’ 예외 상태 벤야민은 「역사 개념에 관하여」의 8번 테제에서 예외상태를 특이한 방식으로 언급한다. “억압받는 자들의 전통은 우리에게 우리가 살아가는 ‘예외 상태’가 규칙임을 가르쳐준다. 우리는 이런 사실.. 2023. 4. 21.
정승훈 발제(2): 하버마스와 벤야민 하버마스와 벤야민의 계보학하버마스에 의하면, 벤야민은 역사철학에서 메시야 이념안에서 과거가 구원을 필요한다고 본다. 벤야민은 역사를 영향사의 지속성에서 파악하는 하이데거 해석학에 긍정하지 않는다. 벤야민의 역사철학은 진보신념에 저항하는 반-진화론적인 입장에 서 있다 ("Walter Benjamin", 347). 진보사상은 벤야민에게는 참을 수 없는 것이며, 묵시적인 재난과 파국에 직면하며, 구원을 필요로한다. 벤야민은 메시야가 개입하는 지금시간(Jetztzeit)을 통해 역사를 충만하게 한다. 모든 세대마다 희미한 메시야적 능력이 더불어 존재한다 (ibid., 348). 벤야민은 괴테의 소설 에 대한 그의 비평에서 내재적 비판을 개념화한다. 예술작품의 진리내용은 문학작품의 근저에 놓여있고, 문학의 외적인.. 2023. 3. 29.
정승훈 발제(1): 비판이론과 종교 정승훈 신학(스위스 바젤대학ㅡ칼 바르트와 헤겔연구)과 사회학(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및 대학ㅡ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연구)전공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 (전임강사) 워트버그 신학대학원 (조교수) 미네소타 루터신학대학원 (부교수) 시카코 루터신학대학원 (석학교수)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센터 원장 사회학적 사유와 고고학적 해석 미디어 저널 (티스토리) 편집장으로 역사사회학과 공공신학 그리고 국제정치에 대한 글을 쓰고있다. 공공신학적 반성: 위르겐 하버마스와 발터 벤야민하버마스는 1962년 교수자격취득 논문 에서 시민사회의 중요성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하고, 근대성의 미완의 과제를 언급했다. 그러나 그의 책은 1989년에 비로소 영어로 번역되었다. 27년이 지나 늦게 번역한 것은 공론장의 구조변동과 시민사회에 대한 하버마스의.. 2023. 3. 29.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