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캉2

자크 라캉이 읽는 헤겔 라캉과 헤겔 지젝은 “라캉: 어떤 점에서 그는 헤겔적인가?”란 글에서 라캉은 여전히 코제브와 이폴리트의 헤겔해석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거울의 단계 (에고/자아)인 상상계를 거쳐 자아는 언어의 상징계, 다시말해 사회안에서 주체로 전환된다. 상상계는 유아의 나르시즘적인 단계이며 거울의 단계를 기초로 자기 동일성 (그러나 기만)의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상징계에서 사회구조(아버지의 이름: 큰 타자)가 자아를 주체로 규정하며, 상징적 남성 지배는 생물학적인 의미에서 오이디푸스 콤프렉스를 넘어선다. 그것은 아버지의 이름에서 작동되며 금지와 법으로 나타난다. 이런 정신 분석학적인 틀에서 하버드 대학 교수인 호미 바바는 모방욕구 이론을 전개하고 비판적이며 해방적인 기능을 다룰려고 한다. 그것은 이미 식.. 2023. 6. 12.
식민지 근대성과 모방욕구 식민지 근대성과 모방욕구 하버드 대학의 교수인 호미바바는 라캉과 파농의 유산을 그의 프소트콜로니얼 문예비평에서 이어간다. 그는 인도출신이며 프랑스가 아니라 인도의 식민지 경험을 모방욕구를 통해 이야기한다. 알제리의 해방투쟁과는 달리 영국의 인도 식민지배는 영국-인도 혼혈 공동체의 디아 스포라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인도와의 영국의 무역과 식민지배에서 이들은 인도인과—인도를 여전히 자신들의 고향으로 간주하는—유럽의 정착민들 사이에 중간 존재로 거한다. 식민지 근대성과 제국의 자본주의는 개발과 순응논리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인도의 영국지배에서 결정 적이다. 인도는 영국을 위해 거대한 시장이었고 원료 제공지였고, 해외무역을 통해 영국은 산업 혁명에서 나타난 국내의 과잉생산의 문제를 해결했다. 호미 바바와 모방.. 2023. 6. 12.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