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울3

공공선 거버넌스 스쿨 강연 (1) 바울과 로마의 누마 종교 https://www.youtube.com/watch?v=l69JUCvfiCo&t=12s (2) 로마의 노예제와 바울의 아게네스 https://www.youtube.com/watch?v=v1TuJkQE_i8&t=5s 2023. 10. 7.
바울과 3차 예루살렘 성전 (10) 바울은 사람들의 손에 의해 지어지는 삼차 예루살렘 성전을 거절한다. 그것은 메시야의 마지막 재림에서 이스라엘의 회개와 영적 각성을 위해 주어지는 선물이기 때문이다. "내 종 다윗이 그들의 영원한 왕이 될 것이다" (에스겔 37:24). 하나님은 이들과 평화의 언약을 세우고 성소 (예루살렘 성전)를 이들 가운데 세워서 영원히 임재할 것이다 (37: 26). 바울에 의하면 그리스도는 우주적인 재림에서 모든 통치와 권세와 능력을 폐할 때까지 다스린다. 맨 마지막에 멸망당할 원수는 사망이다. 그리스도는 하나님께 순종한다 (고전 15: 24-27).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만국을 치고 철장으로 다스린다 (계 19: 15). 이러한 다스림은 재림 후 심판과 평화의 다스림일 수 있고 예루살렘에서 곡과 마곡과의.. 2023. 2. 8.
고고학적 해명: 누가ㅡ바울(13) 고고학적 해명은 양식사 비평(원자료)에서 편집사 비평 (복음서의 기자들의 신학)에 이르는 전승사를 고고학적으로 해명한다. 원자료와 나사렛 예수의 본래적 관계를 해명할 때 복음서의 "예수문서들" 에 초점을 맞추고 여기에 담겨져있는 이스라엘 이디엄과 묵시문학적 지평을 당대 팔레스타 유대교와 비교분석한다. 고고학적 접근은 복음서에서 나사렛 예수에 대한 증언에서 나타나는 다름과 단절 또는 변형을 일으킨 배경을 두텁게 기술한다. 이것은 권력관계에 기초한 푸코의 고고학의 불연속성보다는 나사렛 예수의 전승자료들의 다양성과 차이에 주목하고 이것을 해석한 편집자의 신학에 주목한다. 이러한 고고학적 접근은 불트만의 아포테그마타를 기초로 역사적 예수와 초대 공공체의 신약성서의 기본적인 파열이 데카르트적 개인주의적 의심으로 .. 2023. 2. 8.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