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폰 라트2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2) 전승사와 신앙고백 이스라엘의 역사는 하나님의 말씀의 역사적 개입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자료와 양식비평은 자료 전승의 역사를 추적하는 도구가 되는데, 여기서 게르하르트 폰 라트의 연구가 중요하다. 하나님의 구원사는 단순한 역사적 보도라기 보다는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은혜에 대한 신앙고백이며 신학적인 반성을 담고있다. 복음서가 예수의 역사적 삶을 등한시하지 않지만 신학적인 편집을 담고 있듯이, 가장 오래된 시내산 전승의 ‘삶의 자리’도 야훼의 계시에 대한 반복되는 제의적인 수행에서 드러난다.  폰 라트는 역사 비평이 이스라엘 역사에 접근하는 유일무이한 학문적 방법이라고 간주하지 않는다. 이것은 근시안적인 견해다. 전승자료들에서 역사적이고 실제적인 것은 정신적인 의미와 분리될 수 없다. 살아계신 야훼에 대한.. 2023. 3. 9.
막스 베버의 유대교: 폰 라트와 칼 바르트(26) 베버의 유대교 연구 성서적 유대교에 대한 베버의 사회학적 연구는 구약성서에 대한 전승사와 편집비평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베버는 당대 팽배했던 반유대주의자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해서 종교 다원주의자도 아니었다. 그의 사회학적 연구는 성서적 유대교의 문화 정치적 배경을 검토하고, 성서해석의 새로운 모델을 열어주었다. 베버는 유대인을 고대 팔레스티나 를 둘러싼 문명에서 주변부 백성으로 파악했다. 베버는 벨하우젠의 오경연구를 비판적으로 수용했다. 벨하우젠은 헤겔의 역사 진화론적인 모델을 기초로 사제문서 (P)를 성서적 유대교의 역사적 발전의 최종 단계로 보았다. 이어서 그는 랍비 유대교를 사제문서에 근거한 유대교의 화석화된 변질형태로 비판했다. 이것은 벨하우젠의 전형적인 반유대적 입장을 보여준다. 그러나 베버.. 2023. 2. 22.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