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르크스3

마르크스와 문제틀 (2) 무엇을 하려고 하나 마르크스의 프롤레타리아는 무산자이며, 스스로 보호할 것도 없으며, 이들은 자본의 예속을 통해 민족적 성격이 빼앗겼다. 법률, 도덕, 종교, 철학, 교육, 이데올로기 등은 부르주아적 편견이나 이해나 권력관계에 의해 가려져 있다. 아동에 대한 사회적 무상교육과 아동의 공장 노동을 폐지한다—이러한 마르크스의 시대적 요구는 빅토리아 시기에 실현되고 영국의 민족 정체성과 개혁 그리고 도덕적 존중이 자리잡는다. 사회전반에 걸친 개혁과 해외시장으로부터의 수익과 식민지배가 마르크스의 생각을 빗나가게 한다. 무산자들이 사라지고 증산층으로 편입되고, 그들은 더 많은 소유와 특권을 가지려는 강한 모방욕구를 가지게 된다. 마르크스가 살았던 1848년은 광범위한 증산층에 의해 자유주의, 민족주의, 독립국가를.. 2023. 6. 26.
찰스 테일러와 바르트: 헤겔과 마르크스 찰스 테일러: 헤겔과 마르크스 찰스 테일러는 에서 칼 바르트의 헤겔비판을 긍정적으로 수용했다. 그러나 헤겔의 안셀름 해석은 바르트의 신학과 새로운 대화를 위해 열려있다. 그것은 헤겔을 만유 재신론자가 아니라 삼위일체론적인 유일신론자로 보게하는 가능성이다. 헤겔의 성령이해와 인격개념은 삼위일체론의 의미를 삼신론과는 달리, 보다 풍부하게 히브리적 하나님 이해와 더불어 발전시킬 수가 있다. 테일러는 의 결론에서 일체의 전제주의로부터 헤겔의 정치적 입장을 방어한다. 헤겔에게서 인간은 새로운 인륜성을 이성적인 국가안에서 발견하고 보다 큰 삶과의 연관성안에서 일치가 되어야한다. 이것은 프러시아 절대군주에 대한 충성이념도 아니며, 진영 논리에 기초한 여타의 파시즘으로 오해 될 수도 없다. 헤겔은 마르크스나 레닌과는 .. 2023. 6. 19.
벤야민의 역사철학은 하늘의 별자리 벤야민의 역사철학과 마르크스 하버마스는 벤야민이 정치적 현실성을 가질려면 역으로 그의 언어의 경험이론이 사적 유물론을 위해 복무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버마스는 이러한 벤야민의 시도가 파산될 것으로 보는 데, 왜냐하면 사회발전의 유물론적 이론을 “지금 여기”의 메시아적 구성으로 도입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사적 유물론은 생산력의 차원에서 진보를 예견하며 또한 상부구조의 지배체제를 고려하지만, 수도사의 옷과 같은 벤야민의 반-진화론적인 역사개념으로 치장할 수가 없다. 벤야민의 유대적 신학은 계몽과 신비주의를 접합시키는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메시야적 경험이론은 사적 유물론에 도움되지 않는다 (“Walter Bemjamin,” Habermas, 364, 371). 나는 이러한 하버마스의 비판에 주저한다. 하버.. 2023. 2. 4.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