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ssa perditionis3

찰스 테일러와 바르트: 헤겔과 마르크스 찰스 테일러: 헤겔과 마르크스 찰스 테일러는 에서 칼 바르트의 헤겔비판을 긍정적으로 수용했다. 그러나 헤겔의 안셀름 해석은 바르트의 신학과 새로운 대화를 위해 열려있다. 그것은 헤겔을 만유 재신론자가 아니라 삼위일체론적인 유일신론자로 보게하는 가능성이다. 헤겔의 성령이해와 인격개념은 삼위일체론의 의미를 삼신론과는 달리, 보다 풍부하게 히브리적 하나님 이해와 더불어 발전시킬 수가 있다. 테일러는 의 결론에서 일체의 전제주의로부터 헤겔의 정치적 입장을 방어한다. 헤겔에게서 인간은 새로운 인륜성을 이성적인 국가안에서 발견하고 보다 큰 삶과의 연관성안에서 일치가 되어야한다. 이것은 프러시아 절대군주에 대한 충성이념도 아니며, 진영 논리에 기초한 여타의 파시즘으로 오해 될 수도 없다. 헤겔은 마르크스나 레닌과는 .. 2023. 6. 19.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3) 편집사 비평의 사회학적 전망 전승사는 성서자료층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부각시키며 역사비평의 성과들 (본문비평, 자료비평, 양식비평, 편집비평 등)과 힘께 고고학적 발견을 포함시킨다. 물론 중요한 것은 양식 비평의 성과물들이며, 이것은 한 본문의 최초 단위가 구전적 장르 (이야기, 격언. 시편,신탁 등)에서 추적하며, 특별한 내용의 구전장르가 어떻게 가정이나 사회교육 또는 예배와 같은 삶의 자리에서 되풀이 되는 지를 본다. 그리고 전승비평과 더불어 사회학적 관심을 가진 해석가에세 세대와 세대를 거치면서 각각 다른 사회적 조건과 정치적 상황에서 자료의 전승과정과 의미 지평의 확대를 보게한다. 히브리 성서의 연대는 70인역이나 사마리아 오경과도 다르다. 창세기의 연대는2000년 이상 이지만, 신명기는 겨우 2.. 2023. 3. 10.
바울과 아게네스 신학: 로마의 관료제 비판 (12) 바울과 아게네스 바울은 아게네스 (고전 1: 28)의 신학자다. 로마의 제국의 시대에 바울의 신학에는 노예가 포함된다. 자유인과 노예의 관계에서 그는 오네시모의 사면권을 빌레몬에게 호소하기도했다. 바울의 아게네스 신학에는 메시야의 인정정치가 깔려있다. 바울의 공공신학의 차원에서 드러나는 할례거부와 음식논쟁을 이해하기위해 로마제국의 정치 사회계층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갈라디아 교회의 문제 갈라디아서는 바울이 에베소에서 50ㅡ55년 사이에 쓴 것으로 추정된다. 복음의 진리에 대한 바울의 투쟁 배후에는 단순히 유대적 기독교인들과의 긴장보다는 할례와 음식규정을 둘러싼 정치 사회적 긴장이 깔려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종교정책에서 유대인들은 토라와 전통적 관습에서 빗나가지 않도록 했다. 당대 유대교의 .. 2023. 2. 8.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