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5

<야생적 사고>와 문화-언어학 모델 언어 기호학과 구조 인류학 라캉은 사회적인 삶을 상징구조(무의식)로 보는 점에서 구조 인류학 (레비 스트로스)의 영향을 보인다. 레비 스트로스는 소쉬르의 랑그 (문법체계)와 파롤(소통)의 구분을 수용했다. 랑그는 시스템의 구조로서 집단적이며 공시적이지만, 파롤은 통사적이며 진화론적인 시간을 갖는다.  페르디낭 소쉬르에 의하면, 언어는 역사적인 상황에서 말하는 주체를 통해 발전되지 않는다 (파롤). 오히려 언어는 싸인 시스템(랑그)이며, 언어학적 의미는 기표와 기의의 관계와 연결망에서 결정된다. 언어는 심포니 오케스트라에 비교되는 데, 개별 연주는 이러한 심포니 안에서 의미를 갖는다.  언어는 공시적으로 서로 연결된 음성과 의미의 네트워크로 간주된다. 언어는 사회적 현상이며 개별적인 언어의 싸인 시스템은 .. 2025. 4. 2.
토크빌: 미국의 유효한 역사 트럼프 2기에 들어 오면서 미국은 토크빌의 유산에 고별을 했다고 말한다. 토크빌의 대작 는 미국의 민주주의를 호평하기 위해 씌여지기 보다는, 오히려 프랑스 혁명의 복잡한 전개를 거쳐가는 자신의 고국 프랑스의 민주주의를 위해 기술한 것이다.  에서 토크빌은 다음처럼 쓴다. 1831년 12월 나는 미시시피 좌측 제방에 있었다.유럽 이주인들이 미시시피란 이름으로 불렀는데, 수많은 원주민 촉타우스 ( Choctaws ) 그룹이 이곳에 도착했다. 이들은 미 정부가 약속한 난민자격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미시시피 강 우측 제방을 얻으려고  애를 썼다. 때는 겨울 중순이었고 맹 추위가 몰아쳤고 눈은 얼어서 지면은 빙판과 같았다. 미시시피강은 거대한 얼음으로 흘러다니고 있었다. 인디언들은 가족들과 함께 이주 중이.. 2025. 4. 2.
탄핵정국의 에콜로지: 법 사회학적 해명 탄핵 정국과 비오폴리틱 파시즘: 법 사회학적 접근  정승훈 (Distinguished Full Professor in International Public Theology and Director of Forum-Center) 기본 테제 탄핵 정국에서 사법 시스템과 권력을 사회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정치 조직과 제도를 헌법과 법률을 통해 연구한다. 법은 '형태론적인' 시스템이며 자체 안에서 소통의 네트워크를 통헤 정치적 성격을 갖는다. 이것은 판사들의 정치적 성향이 중요하지만, 동시에 법은 닫혀진 체계 또는 교리로서 정치적 성향을 스스로 규제한다. 법의 형태론적 구조는 미국의 경우 권력 분립이라는 성격으로 인해, 의회의 다수결의 또는 독재에 재갈을 물이는 현상으로 드러난다(알렉시스 토크빌). 법은 소통 .. 2025. 3. 23.
종교와 사회의 합리화 그리고 법 뒤르캠: 종교, 사회, 법 1895년 이후부터 뒤르캠은 사회적 삶에서 종교의 주요역할에 관심을 기울이고 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를 발전 시켰다. 이전  집합이념과 감정 그리고 거룩의 현상은 종교 사회학에서 특징으로 드러나는데 종교일반은 종교적 세력과 인간의 힘 그리고 도덕적 힘으로 구성되며 사회전반에 열과 전기력처럼 확산되며 영향을 미친다.   뒤르캠에게서 종교는 사회의 영혼이며, 문명전반에 원천의 역할을 한다. 신성한 것의 특질은 관찰될 수 있는 실제적인 현상에 있으며, 종교적 제의와 수행을 통해 공동체적으로 실제적인 것에 들어간다. 하나님과 사회는 동일시된다. 토템의 원리 (신)는 사회의 상징이 된다. 만일 토템이 신과 사회의 상징이라면, 여기서 뒤르캠의 유명한 그러나 논쟁의 여지가 있는 신과 사회.. 2025. 3. 22.
에밀 뒤르캠: 사회학적 방법론과 실천 뒤르캠: 사회학적 방법과 의미  뒤르캠의 방법은 "개별적인 과학은 자체상 원리에 의해 설명되어야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적 전통에 서 있다. 사회학의 대상은 경험적 관찰과 연구를 통해 접근하는 사회적 사실이다. 사회적 사실은 일반적인 제도로서 집단적이며 형태론적이며 개인과 그룹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적인 감정은 전통적인 신념과 실천에 대한 교육을 통해 문화적으로 전달되면서 개인의 삶에 이어진다. 이런 점에서 사회학은 사회적 제도들의 지속적인 구성에 대한 역사를 필요로한다. 왜냐하면 사회 제도들은 사회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사회학은 사회제도와 발생과 기능에 대한 과학이며, 법적 코드와 도덕적 규칙, 종교적 교리, 재정 시스템 처럼 개인의 의지와는 상관 없이 집단적인 삶의 형태론적인 차원에 관계한다. .. 2025. 3. 21.
시민사회와 비판적 민주주의: 루소와 더불어 그러나 넘어서 법 사회학의 차원에서 나는 시민사회와 정치문제에 접근한다. 시민사회는 정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정치’라는 용어는 도시 국가나 공동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polis에서 유래한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 시스템 ‘폴리테이아’에서 시민 국가나 또는 로마 공화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공적 업무(res publica)를 지칭하는 공공선의 정의를 함축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섯가지 정부형태의 유형을 분류했다. 세 가지 선하고 의로운 정부형태는 왕권, 귀족제, 과두제와 민주제의 결합이다. 세 가지 악하고 의롭지 못한 정부형태는 민주제와 과두제와 독재이다 (Politics, III. vi). 여기서 유의해야하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언급하는 민주제는 아테네의 직접 민주제가 폭민 선동주의로 인해.. 2025. 3. 20.
시민사회: 사법 시스템과 정의--공공신학을 위한 반성 법 사회학: 자배와 권력행사 법 사회학은 법과 사회 그리고 인간의 사회적 행동에 주목한다. 법적 시스템과 제도들은 어떻게 사회규범과 가치 그리고 행위에 상호작용을 하는가? 사회적 요인은 어떤 방식으로 법적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가? 마찬가지로 사회학은 법적 지배가 정치적 영역과 사회적 행동과 구범과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검토한다. 사회와 법의 관계는 국가의 정치적 스펙트럼안에 존재한다. 사회학에서 이러한 접근은 "방법론적 민족주의" 로 언급된다 (e.g. Beck & Sznaider 2006). 법률 이론에서 이러한 접근은 모든 법은 국가제도에 의해 창출되고 권위를 갖는다는 법 이념에 연결된다. 법률의 경계는 국가에 의해 설정되며 영토와 시민권에 기초한다. 법 사회학은 법의 포괄적인 기능 즉 통.. 2025. 3. 19.
탄핵정국과 사법 관료제: 막스 베버의 성찰 사회학적 접근: 법과 정의 대한민국의 탄핵정국에서 헌법재판소 (헌재로 약칭)가 방송통신위원장의 탄핵기각과 더불어 3월 13일 최재해 감사원장과 세명의 검사들에 대한 전원일치로 탄핵을 기각했다. 법과 정의의 문제가 논란이 일고있다. 더우기 향후 윤 대통령의 탄핵재판과 연계되어 법은 정치 권력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나는 법조인도 아니고 법을 전문적으로 연구한 학자도 아니다. 그러나 사회학의 관점에서 나는 헤겔과 막스 베버를 전공한 학자로서 법과 정의 그리고 권력관계를 해석한다. 법 사회학은 법과 사회 그리고 인간의 사회적 행동에 주목한다. 법적 시스템과 제도들은 어떻게 사회규범과 가치 그리고 행위에 상호관계를 통해 작동하는가?  막스 베버에게서 법적 합리적 형식은 사회지배의 형식을 의미하며,.. 2025. 3. 17.
법 사회학적 접근: 시민사회, 민주주의, 종교 에밀 뒤르캠과 법 사회학 에밀 뒤르캠에 의하면 법은 사회를 통합하는 힘으로서 도덕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그러나 뒤르캠은 사회가 합리화 과정을 거쳐 분업과 전문화가 발생할 때 기계적이며 병리적인 현상을 간과하지 않았다. 인간의 신체에 행사되는 비오폴리틱은 자본주의 발전에서 노동자를 소외시키고 신체를 규율하면서 행사된다.  뒤르캠의 분업 사회학은 시민사회에서 통합과 도덕적 기능에 주목하고, 법과 정의론에서 사회적 삶의 규제적인 차원을 매개한다. 시민사회는 연대의 영역이며 정치나 경제 그리고 개인이나 종교적 삶과는 경험적으로 분리 되어있다. 시민사회에서 법은 매우 중요한 경계의 메카니즘이며 법적 권리, 다시말해 주변부의 인종이나 성 소수자에게  인권을 허락하기도하고 또는 거절하기도 한다, 법은 시민의 영역의 .. 2025. 3. 17.
변혁과 민주주의 위기: 알렉시스 토크빌 다시 읽기 대한민국의 탄핵정국과 세계 파시즘 현상에서 나는 알렉시스 토크빌을 다시 읽고 그에게 길을 묻는다. 의회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사법 시스템과 관료주의를 어떻게 비판적으로 검토 하는가? 변혁과 통전적 민주주의로 가는 길에서 권력관계는 사법 시스템과 관료제에서 작동한다. 국가안보나 카리스마의 이름으로 기묘한 독재자나 정치 선동가가 출현한다. 이것은 글로벌 정치에서도 나타난다.   왜 알렉시스 토크빌인가?  중국 공산당의 규율 반장격인 왕치산이 반부패 회의를 주재하면서 토크빌이 1856년에 펴낸 걸작 “앙시앵 레짐과 프랑스 혁명”을 추천했다고 한다. 왜 이런 역설적인 책을 소개 했는지 이해가 안간다. 중국에는  지배자들이나 사상가들로부터 내려오는 옛 경구가 있다. '백성들의 삶을 고단하게 하지마라’. 민중의 .. 2025. 3. 16.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