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1

시민사회와 개인주의 그리고 종교 민주주의 혁명과 개인주의 귀족제도의 잔해 위에 민주 사회의 건설이 막 완료된 시기는 사람들 간의 분리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이기주의가 가장 강하게 관찰되는 시기이다. 민주 공동체는 단지 많은 수의 독립 시민들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새로운 권력에 취해있다. 그들은 자신의 힘에 대해 거만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동료들의 도움을 청할 일이 없다고 생각한다. 자신들 외에는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는 것을 주저 없이 드러낸다. 그러므로 민주 사회의 초기에 시민들이 가장 분리되어 살게 되는 경향이 있다. 민주주의는 사람들이 동료들과 가까워지지 않도록 만든다. 민주주의 혁명은 그들이 서로를 피하게 하고 평등 상태를 지속하게 만든다. 이것은 민주주의 혁명의 초기애서 개인의 평등과 관련하여 드러나는 .. 2025. 4. 8.
문화 의미론: 텍스트와 기호학 문화 언어학적 접근 (cultural-linguistic)  나는 문화 언어학적 접근을 레비 스토로스의 구조인류학과 클리포드의 기어츠의 문화상징을 통합하면서 발전시킨다. 기어츠에게서 인도네시아 발리에서의 닭싸움 놀이는 섹스피어의 고전만큼이나 원주민의 문화를 열어가는 싱징적인 택스트가 된다. 이것은 집단적으로 유지되는 상징구조이며 "중요한 것에 대해 중요한 것을 말하는" (아리스토텔레스) 수단일 수 있다. 사회학적 원리는 문화 언어학적 접근에서 닭싸움 자체를 지지하기 보다는 이러한 문화 놀이에 담겨있는 사회 의미론으로 연결되며, 문화는 텍스트의 수집이나 조합 또는 앙상블로 이해된다.    이런 점에서 기어츠는 스피노자의 자연 해석학을 수용하는데, 자연해석(interpretatio naturae)은 스피노자.. 2025. 4. 5.
인터뷰: 트라우고트 애니켄 https://www.ev.ruhr-uni-bochum.de/cg-jaehnichen/prof.html.de Interview: Traugott Jähnichen and Public Theology Clarification: Christian Social Ethics and Ethical Theology 1. You are an expert in the field of Christian Social Theory (CST), which is concerned with the ethical relation in dealing with social institutions and exploring a possibility of new social formation. Would you give us more ex.. 2025. 4. 4.
명사와의 만남: 하인리히 베드포드-스트롬 Paul S. Chung’s Interview with Bishop Dr. Heinrich Bedford-Strohm  https://www.oikoumene.org/about-the-wcc/organizational-structure/presidents-and-leadership/bishop-dr-heinrich-bedford-strohm Meet Heinrich Bedford-Strohm하인리히 베드포드-스트롬과의 만남 In this publication, Paul Chung interviews Bishop Dr. Heinrich Bedford-Strohm of the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Bavaria.  Bishop Bedford-Strohm is now serv.. 2025. 4. 4.
인터뷰: 벨리-마티 카르카이넨 교수 Paul S. Chung’s Interview with Veli-Matti Kärkkäinen  Meet Veli-Matti Kärkkäinen In this publication, Paul Chung interviews Veli-Matti Kärkkäinen,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Fuller Theological Seminary, Pasadena. He is an ordained minister of Evangelical Lutheran Church and a well-known outstanding ecumenical theologian. With a Finnish background, he specializes in comparative and interdi.. 2025. 4. 4.
인터뷰: 크레이그 네산 Paul S. Chung’s Interview with Prof. Craig L. Nessan 버클리 포럼-센터 원장 정승훈 교수는 크레이그 네산 교수와 인터뷰를 가지고 향후 한국 브렌치와 교육 프로그램 발전에 대해 대화를 나누었다.   Paul Chung takes the chance to interview Prof. Craig L. Nessan at Wartburg Theological Seminary in Dubuque, Iowa. Our International Public Theology in Forum-Center (IPTFC) is a member of the Global Network for Public Theology, and we are excited to collaborate with.. 2025. 4. 4.
<야생의 사고>와 문화 언어기술 알렉시스 토크빌은 에서 원주민에 대한 야생의 문화를 언급한다. 문명은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오랜 사회적 과정의 결과이다. 이것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지며, 각 세대는 이전 세대의 경험을 통해 이익을 얻는다. 모든 인종 중에서 문명에 가장 어렵게 적응하는 것은 사냥에 의존하는 부족이다. 목축 부족들은 실제로 자주 거주지를 바꾸지만, 이주의 경우 규칙적인 순서를 따르며, 종종 이전의 거주지로 되돌아온다. 반면 사냥꾼의 거처는 그가 쫓는 동물들의 거처에 따라 달라진다. 문명은 오두막에서 시작되지만, 숲 속에서 사라져 버린다. 미국에서 인디언 법제자들의 오류는 한 인종을 문명화하는 데 성공하려면, 이들을 먼저 정착 시켜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 데 있었다. 이들이 토지를 경작하도록 유도하지 않고.. 2025. 4. 2.
토크빌: 미국의 유효한 역사 트럼프 2기에 들어 오면서 미국은 토크빌의 유산에 고별을 했다고 말한다. 토크빌의 대작 는 미국의 민주주의를 호평하기 위해 씌여지기 보다는, 오히려 프랑스 혁명의 복잡한 전개를 거쳐가는 자신의 고국 프랑스의 민주주의를 위해 기술한 것이다.  에서 토크빌은 다음처럼 쓴다. 1831년 12월 나는 미시시피 좌측 제방에 있었다.유럽 이주인들이 미시시피란 이름으로 불렀는데, 수많은 원주민 촉타우스 ( Choctaws ) 그룹이 이곳에 도착했다. 이들은 미 정부가 약속한 난민자격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미시시피 강 우측 제방을 얻으려고  애를 썼다. 때는 겨울 중순이었고 맹 추위가 몰아쳤고 눈은 얼어서 지면은 빙판과 같았다. 미시시피강은 거대한 얼음으로 흘러다니고 있었다. 인디언들은 가족들과 함께 이주 중이.. 2025. 4. 2.
탄핵정국의 에콜로지와 파시즘: 법 사회학적 접근 탄핵 정국과 비오폴리틱 파시즘: 법 사회학적 접근  기본 테제 탄핵 정국에서 사법 시스템과 권력을 사회학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정치 조직과 제도를 헌법과 법률을 통해 연구한다. 법은 '형태론적인' 시스템이며 자체 안에서 소통의 네트워크를 통헤 정치적 성격을 갖는다. 이것은 판사들의 정치적 성향이 중요하지만, 동시에 법은 닫혀진 체계 또는 교리로서 정치적 성향을 스스로 규제한다. 법의 형태론적 구조는 미국의 경우 권력 분립이라는 성격으로 인해, 의회의 다수결의 또는 독재에 재갈을 물이는 현상으로 드러난다(알렉시스 토크빌). 법은 소통 시스템으로서 자율성 즉 자기 전거적 성격을 가지며 (self-referential) 자신들의 담론과 언어 게임과 법적 실천으로 드러난다. 이런 점에서 법적 사회는 내부적으로 .. 2025. 3. 23.
종교와 사회의 합리화 그리고 법 뒤르캠: 종교, 사회, 법 1895년 이후부터 뒤르캠은 사회적 삶에서 종교의 주요역할에 관심을 기울이고 종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를 발전 시켰다. 이전  집합이념과 감정 그리고 거룩의 현상은 종교 사회학에서 특징으로 드러나는데 종교일반은 종교적 세력과 인간의 힘 그리고 도덕적 힘으로 구성되며 사회전반에 열과 전기력처럼 확산되며 영향을 미친다.   뒤르캠에게서 종교는 사회의 영혼이며, 문명전반에 원천의 역할을 한다. 신성한 것의 특질은 관찰될 수 있는 실제적인 현상에 있으며, 종교적 제의와 수행을 통해 공동체적으로 실제적인 것에 들어간다. 하나님과 사회는 동일시된다. 토템의 원리 (신)는 사회의 상징이 된다. 만일 토템이 신과 사회의 상징이라면, 여기서 뒤르캠의 유명한 그러나 논쟁의 여지가 있는 신과 사회.. 2025. 3. 22.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