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복음5 성서는 세계와 더불어 (25) 사도 바울에 대한 알랭 바디우나 아감벤의 연구는 도전과 자극을 준다. 물론 이전에 토마스 홉즈나 스피노자 또는 존 로크는 성서를 통해 이들의 근대국가이론을 열어갔다. 우리는 성서가 더 이상 교회가 독점하지 못하는 시대를 살고있다. 성서는 세계와 더불어 읽어져야 한다. 이것은 인식론적인 전환을 요구한다. I. 성서해석과 인식론적 문화 나는 성서해석에서 시스템 (텍스트 관계의 총체)과 구조이론 (사회구성과 계층론)을 통해 본래의 자료층과 의미구성을 고고학적으로 해명한다. 이러한 고고학적 해명은 사회학적으로 접합된다. 이것은 종교적 이념이 어떤 선택적 친화력을 물질적 이해와 권력관계, 문화적 스펙트럼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정당성에서 갖는 지 검토한다. 이러한 고고학적 태도는 지금까지 텍스트 이해에서 원인-결과와.. 2023. 2. 6. 이전 1 2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