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1 공공신학과 누가복음 (9) 서구신학에서 오랜 세기를 거치면서 논쟁해 온 '역사적 예수 연구'는 나름의 학문적인 성과를 갖는다. 역사적 예수 연구를 통해 성서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방법론이 형성되었다. 무엇보다 더 하나님이 성서의 삶의 자리에서 어떻게 말씀하시고, 초대 교회 공동체는 어떤 신학적인 이해와 응답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을 발전시켰는 지를 보게 해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적 방법은 역사적 예수를 이념형으로 파악하고 초대 교회 공동체의 산물이나 케리그마화된 양식으로 보았다. 이것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갈릴리에서 살아서 움직이고 민중들과 더불어 활동하고 투쟁하면서 가르쳤던 나사렛 예수의 인격과 가르침 그리고 실천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나는 역사적 예수의 논의들을 검토하면서, 나사렛 예수의.. 2023. 2. 9. 이전 1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