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자2

다니엘의 "인자같은 이"와 예수(28) "인자와 같은 이" 다니엘서는 묵시의 지혜자로 간주된다 (단 2:48). 지혜는 신적인 카리스마를 담고 있으며 고대 이스라엘의 전통, 특히 요셉의 꿈 해석에서 볼 수 있다 (창 41). 예언문헌이 이스라엘 역사에 직접적인 야훼의 개입과 회개를 촉구 한다면, 묵시문헌은 모든 역사적 과정을 보편적 인 야훼주의 틀에서 객관화시키고 개념화한다. 예언의 메세지가 구원사에 초점이 있다면, 구원사는 더 이상 역사결정론적인 묵시적 세계관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일종의 인식론적 파열이 일어난다 ( Von Rad, Old Testament History II, 303). 다니엘 7장 13절의 인자와 같은 이는 히브리어의 벤 아담이나 아람어의 벤 에노쉬(ben-enosch, 시편 8:4)로 이해된다. 벤 아담의 복수형(베니욤.. 2023. 3. 18.
나사렛 예수는 묵시적 메시야(19) 공공신학은 발터 벤야민의 계보학을 수용하고, 성서 텍스트에서 인자 메시야와 민중의 관계를 내재적 비판과 묵시문학과의 연관 (에른스트 케제만)에서 발전시킨다. 그리고 크로산의 인자 예수에 대한 묵시적 통찰을 수용한다. 인자 예수와 묵시적 종말론 역사 예수 연구에서 묵시문학적 전환은 예수가 세례요한을 엘리아처럼 여겼지만, 그가 즐겨 사용한 인자 칭호는 다니엘의 예언에 근거되어있다. 여기서 인자는 자신의 고난 받는 백성들과 더불어 있는 집단적인 메시야상이 형상화된다 (다니엘 7: 18). 다니엘의 환상은 기원전167년 부터 164년 사이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 4세의 박해 기간에 관련되는 데, 인자와 같은 이 (7:13)는 그의 거룩한 백성들에게 왕국을 줄 것이다 (7: 27). 인자는 예수시대에 아람어의 “나.. 2023. 2. 6.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