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강연]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16 공공신학이란 ? https://www.youtube.com/watch?v=PtMNumsKIJY https://www.youtube.com/watch?v=xZDN2PUDqI8 https://www.youtube.com/watch?v=Z-nxwtARqgk 2023. 3. 30.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 안내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는 이러한 일을 목표로 합니다. 1. 센터는 공론장에서 신학의 공공성을 인문 사회과학과의 대화 및 협력을 통해 모색한다. 2. 센터는 학제적 소통을 기초로 정치, 경제, 문화, 종교 영역에서 '공공선'과 '연대' 그리고 '인정정치'를 추구한다. 3. 센터는 세계적 차원의 공공신학과 교류를 적극 추진한다. 이를 위해 자연과학과 유전공학 그리고 기술 진보에서 나타나는 신체 정치학과 기후 변화를 병행 연구한다. 4. 센터는 에큐메니컬(ecumenical; 교회 일치) 정신을 터 삼아 한국 교회에서 '신학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데 헌신한다 . 이러한 일환으로 학술 세미나를 개최하고, 목회자들을 공공지성인으로 함양 시킨다. 이사장 이종원 목사 원장 정승훈 박사 *칼 바르트의 신학은 자.. 2023. 3. 30. 이병옥 논찬: 개혁교회 소명론과 막스 베버 이병옥 교수 장신대 선교학 교수 미네소타 루터 신학대학원 선교학 박사 장신대 부설 남북한 평화 신학 연구소장 Missional Church Conversation 네트워크에 관여하며, 공공신학과 선교학의 관계를 칼 바르트와 임마누엘 레비나스를 통해 발전 시키고 있다. 임창세 박사의 “개혁교회 소명론과 막스 베버”에 대한 논찬 이병옥 교수(장신대, 선교학) 논찬자가 볼 때, 목회자이면서 학자이고 학자이면서 목회자인 발표자 임창세 박사(이하, 임창세)의 논문은 자신의 목회 현장의 고민과 학문적 여정의 교차점에서 비롯되었다. 발표자가 서론에서 제시하듯이,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한국교회에 필요한 마을목회와 공공신학을 만들어가기 위해서 한국교회가 견지하고 있는 소명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정비 및 정립을 할 필요성.. 2023. 3. 30. 양운덕 발제(1): 카테콘과 메시야 사이에서 양운덕 박사 고려 대학교에서 헤겔철학으로 박사학위 고려대 교양 교육원 연구 교수및 철학 연구부 교수 역임 현 필로소피아 연구소 대표 저서: 등이 있다. 카테콘과 메시아 사이에서 : 아감벤의 비잠재성으로 본 바울과 벤야민 이 글은 아감벤의 비잠제성의 틀로 바울과 벤야민의 메시아적 사고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다음 세 질문에 답한다. 가) 메시아는 언제 오는가? “악의 신비”(「데살로니가 후서」 2장)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나) 바울의 메시아적 상황에서 어떻게 율법의 정지가 그 완성을 가능하게 하는가? 다) 벤야민의 메시아적 사고에서 ‘참된’ 예외 상태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다-1) 어떻게 법의 문을 닫을 수 있는가? 들어가면서 메시아는 언제 오는가? 가) 보통 메시아는 마지막 날, 시간의.. 2023. 3. 30. 이전 1 2 3 4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