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립강연]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16

임창세 발제 (1): 개혁교회 소명론과 막스 베버 임창세 박사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 소장 독일 보쿰 대학에서 교리신학을 연구하고 과학신학으로 박사학위 개혁교회 전통에서 공공신학을 막스 베버 사회학과 더불어 발전시키고 있다. 현. 용산 제일교회 담임목사 개혁교회의 소명론과 막스 베버 들어가는 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교회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코로나와 함께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상실과 맞물려 예배참석인원이 극감하고 전도와 선교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지역사회와 연대와 소통을 지향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마을목회’이다. 마을목회는 지역공동체 안에서 하나님 나라의 비전을 발견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목회를 말한다. 한국사회의 현실이 마을목회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한국 사.. 2023. 3. 30.
정승훈 발제(2): 하버마스와 벤야민 하버마스와 벤야민의 계보학하버마스에 의하면, 벤야민은 역사철학에서 메시야 이념안에서 과거가 구원을 필요한다고 본다. 벤야민은 역사를 영향사의 지속성에서 파악하는 하이데거 해석학에 긍정하지 않는다. 벤야민의 역사철학은 진보신념에 저항하는 반-진화론적인 입장에 서 있다 ("Walter Benjamin", 347). 진보사상은 벤야민에게는 참을 수 없는 것이며, 묵시적인 재난과 파국에 직면하며, 구원을 필요로한다. 벤야민은 메시야가 개입하는 지금시간(Jetztzeit)을 통해 역사를 충만하게 한다. 모든 세대마다 희미한 메시야적 능력이 더불어 존재한다 (ibid., 348). 벤야민은 괴테의 소설 에 대한 그의 비평에서 내재적 비판을 개념화한다. 예술작품의 진리내용은 문학작품의 근저에 놓여있고, 문학의 외적인.. 2023. 3. 29.
정승훈 발제(1): 비판이론과 종교 정승훈 신학(스위스 바젤대학ㅡ칼 바르트와 헤겔연구)과 사회학(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및 대학ㅡ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연구)전공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 (전임강사) 워트버그 신학대학원 (조교수) 미네소타 루터신학대학원 (부교수) 시카코 루터신학대학원 (석학교수)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센터 원장 사회학적 사유와 고고학적 해석 미디어 저널 (티스토리) 편집장으로 역사사회학과 공공신학 그리고 국제정치에 대한 글을 쓰고있다. 공공신학적 반성: 위르겐 하버마스와 발터 벤야민하버마스는 1962년 교수자격취득 논문 에서 시민사회의 중요성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하고, 근대성의 미완의 과제를 언급했다. 그러나 그의 책은 1989년에 비로소 영어로 번역되었다. 27년이 지나 늦게 번역한 것은 공론장의 구조변동과 시민사회에 대한 하버마스의.. 2023. 3. 29.
정승훈 논찬: Katechon과 메시야 칼 슈미트와 조르지아 아감벤 사도 바울의 카테콘(katechon)과 정치신학은 독일의 법학자인 칼 슈미트에 의해 발전되었다. 카테콘은 억제하는 자란 뜻이며 데살로니가전서 2장 6-7절에서 나타난다. 정치철학에서 홉즈의 국가이론(리바이어던)은 슈미트에게 묵시적 차원에서 무질서를 억제하는 카테콘 정치로 출현한다. 칼 슈미트는 에서 국가주권을 사법적인 틀을 넘어서서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지배와 정치적 결단주의를 강조했다. 그리고 에서 사탄의 세력을 억제하는 카테콘을 로마제국과 이에 결부된 카톨릭으로 보았다. 슈미트는 1933년 나치정당에 가입했고, 1945년까지 베를린 대학의 법학 교수로 재직했다. 전 후 아우슈비츠 문제와 교회와 국가의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정치신학의 모델이 독일에서 위르겐 몰트만과 요한 뱁티.. 2023. 3. 29.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