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1

슈미트의 파시즘 정치와 그의 후예들 칼 슈미트의 정치적인 것 슈미트에게 국가는 사법제도와 삼권분립 그리고 의회 민주주의에 의해 작동되는 정치적인 장소가 아니라, 비상상태를 정상화시키는 개인 주권자의 정치적 결단이 정치의 본질을 이룬다. 이를 통해 국가의 주권이 정의된다. 정치는 지도자의 인격적인 카리스마적 결단에 존재한다. 에서 슈미트는 정치를 동지와 적의 개념으로 진영 논리화하고, 이후 에서 강화해 나간다. 아군과 적군으로 나누는 이분법이 정치를 가능하게 하는 선험적 전제조건이 된다. 국가는 "거대한 산업공장"처럼 돌아가는 자동적인 장소가 아니다. 이러한 리버럴 국가이론에서는 개인의 정치적 결단을 요구하는 주권이 실종된다 (Political Theology, 48). 20세기의 기술지배는 "중립화와 비정치화"의 현상으로 나타나며, 기술지.. 2023. 2. 4.
토마스 홉즈에 대한 슈미트의 폭력 슈미트의 파시즘적 환상 슈미트는 리버럴 사법적 민주주의를 비판하고, 국가권력 자체가 동지와 적을 구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비상사태에서 정치 지도자는 모든 정당과 조직 그리고 사회 제도를 넘어서서 군사력과 관료제를 기초로 모든 국민의 생사를 결정하는 권한을 가져야 한다. 모든 정당들은 시민사회의 복지와 안보와 질서를 정상화시키기 위해 대통령의 권한을 지지하고 연합해야 한다. 국가적인 삶에서 나타나는 위기를 사회학적으로 고려하면서 슈미트는 입법체계를 개인 지도자의 무제한 권력에 예속시킨다. 그러나 그는 무제한 권력이 사회를 파멸로 몰아간다는 것을 애써 피해 간다. 그러나 슈미트와는 달리 국가적인 재난의 상태에서 사회학은 오히려 시민사회와 더불어 국가권력이 의회 민주주의를 통해 행사되고 위기가 극복되는 것.. 2023. 2. 4.
고고학적 해체: 파시즘 정치신학 슈미트 정치 신학의 문제틀 슈미트의 정치신학에서 드러나는 국가주권론은 16세기 왕권 신수설과 같은 카톨릭 신학에 기초되어있고, 18세기 프랑스 혁명을 거쳐 민주주의와 인권, 그리고 새로운 국민주권에 기초한 국가론을 거절한다. 시민국가와 국민주권 그리고 일체의 정치적 자유주의에 대항하여 슈마트는 민족의식을 강화하고 전제적 지도자의 정치적 영도력에 기초한 정치신학을 주장한다. 히틀러는 국가의 비상사태에서 하나님이 슈미트에게 보낸 기적의 선물에 속한다. 1934년 6월 30-7월 2일 사이에 히틀러와 괴링이 나치 민병대의 해체를 수행했을 때, 슈미트는 히틀러의 행동을 지지하면서 8월 1일자 신문에 "지도자는 법적 질서를 보호했다"는 기사를 썼다. "긴 칼의 밤"으로 알려진 이 사건에서 민병대장 하인리히 룀은 .. 2023. 2. 4.
파시즘 정치이론 분석 칼 슈미트와 정치신학 칼 슈미트는 에서 국가주권을 사법적인 틀을 넘어서서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지배와 정치적 결단주의를 강조했다. 그는 1933년 나치정당에 가입했고, 1945년까지 베를린 대학의 법학 교수로 재직했다. 전 후 아우슈비츠 문제와 교회와 국가의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정치신학의 모델이 위르겐 몰트만과 요한 뱁티스트 매츠에 의해 시도 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정치신학의 모델에서 신앙의 정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지만 칼 슈미트의 국가이론에 대한 본격적인 대결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그리고 몰트만의 희망의 정치신학과 메츠의 은 구스타보 구티에레즈의 에 의해 날카로운 공격을 당하고 새로운 담론과 실천으로 전개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에서도 국가 이론에 대한 신학적인 구성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상.. 2023. 2. 3.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