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신학의 지평27 공공신학과 누가의 종말론 (5) 누가복음과 사실주의적 지평 누가복음은 사실주의적 해석을 위해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누가는 예수 전통의 자료 들을 편집하고 자신의 교회의 삶에 관련지을 때 그의 문학적 구조에 역사적 사실과 사회학적 의미 (가난한 자들에 대한 관심, Q자료, 그리고 팔레스티나와는 전혀 다른 로마의 삶의 자리)를 부여한다. 예수전통의 근원을 추적하지만, 마가복음의 “갈릴리”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예루살렘에서 오순절 성령강림과 로마에 이르는 교회 공동체의 선교적 확장에 초점을 맞춘다 (사도행전). 이것은 남은 자들의 메시아 공동체 운동으로 전개되고 갈라디아 교회의 차별없는 복음에서 정점에 달한다. 새언약과 천년왕국 바울은 로마서에서 남은 자의 공동체와 구원의 의미를 메시아의 현재 시간 즉 천년왕국적인 모티브로 해명했다. 이것.. 2023. 2. 8. 랍비 유대교와 미슈나 (11) 바리새파의 가르침 예수와 바울 당시 바리새파 가르침은 힐렐 (주전 110-주후 10)과 샤마이 분파로 갈려 있었다. 리버럴 힐렐의 황금율--너에게 해로운 것을 남에게 하지말라--은 유명하며, 이방인 선교에 관심을 가졌다. 힐렐은 헤롯 대왕 시기에 예루살렘에서 살았다. 바울의 선생인 가마리엘 1세는 그의 손자였다. 그러나 보수파 샤먀이 (주전 50-주후 30)는 엄격했고 이방인들에게 토라를 개방 하지 않았다. 바울은 이 두 학파를 종합한 라반 (대 랍비) 가말리아 (50년 사망)의 문하에서 수학 했다고 유대인들에게 말했다 (행 22: 3). 가말리엘은 산헤드린에 붙잡혀 온 예수의 제자들에게 관대했다 (행 5: 34-39). 힐렐은 산헤드린의 나시(회장) 이었고 관대한 랍비 유대교의 가르침을 대변했다. 그의.. 2023. 2. 8. 바울과 아게네스 신학: 로마의 관료제 비판 (12) 바울과 아게네스 바울은 아게네스 (고전 1: 28)의 신학자다. 로마의 제국의 시대에 바울의 신학에는 노예가 포함된다. 자유인과 노예의 관계에서 그는 오네시모의 사면권을 빌레몬에게 호소하기도했다. 바울의 아게네스 신학에는 메시야의 인정정치가 깔려있다. 바울의 공공신학의 차원에서 드러나는 할례거부와 음식논쟁을 이해하기위해 로마제국의 정치 사회계층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갈라디아 교회의 문제 갈라디아서는 바울이 에베소에서 50ㅡ55년 사이에 쓴 것으로 추정된다. 복음의 진리에 대한 바울의 투쟁 배후에는 단순히 유대적 기독교인들과의 긴장보다는 할례와 음식규정을 둘러싼 정치 사회적 긴장이 깔려있다.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종교정책에서 유대인들은 토라와 전통적 관습에서 빗나가지 않도록 했다. 당대 유대교의 .. 2023. 2. 8. 고고학적 해명: 누가ㅡ바울(13) 고고학적 해명은 양식사 비평(원자료)에서 편집사 비평 (복음서의 기자들의 신학)에 이르는 전승사를 고고학적으로 해명한다. 원자료와 나사렛 예수의 본래적 관계를 해명할 때 복음서의 "예수문서들" 에 초점을 맞추고 여기에 담겨져있는 이스라엘 이디엄과 묵시문학적 지평을 당대 팔레스타 유대교와 비교분석한다. 고고학적 접근은 복음서에서 나사렛 예수에 대한 증언에서 나타나는 다름과 단절 또는 변형을 일으킨 배경을 두텁게 기술한다. 이것은 권력관계에 기초한 푸코의 고고학의 불연속성보다는 나사렛 예수의 전승자료들의 다양성과 차이에 주목하고 이것을 해석한 편집자의 신학에 주목한다. 이러한 고고학적 접근은 불트만의 아포테그마타를 기초로 역사적 예수와 초대 공공체의 신약성서의 기본적인 파열이 데카르트적 개인주의적 의심으로 .. 2023. 2. 8. 이전 1 2 3 4 5 6 7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