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1

변혁과 민주주의 위기: 알렉시스 토크빌 다시 읽기 대한민국의 탄핵정국과 세계 파시즘 현상에서 나는 알렉시스 토크빌을 다시 읽고 그에게 길을 묻는다. 의회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사법 시스템과 관료주의를 어떻게 비판적으로 검토 하는가? 변혁과 통전적 민주주의로 가는 길에서 권력관계는 사법 시스템과 관료제에서 작동한다. 국가안보나 카리스마의 이름으로 기묘한 독재자나 정치 선동가가 출현한다. 이것은 글로벌 정치에서도 나타난다.   왜 알렉시스 토크빌인가?  중국 공산당의 규율 반장격인 왕치산이 반부패 회의를 주재하면서 토크빌이 1856년에 펴낸 걸작 “앙시앵 레짐과 프랑스 혁명”을 추천했다고 한다. 왜 이런 역설적인 책을 소개 했는지 이해가 안간다. 중국에는  지배자들이나 사상가들로부터 내려오는 옛 경구가 있다. '백성들의 삶을 고단하게 하지마라’. 민중의 .. 2025. 3. 16.
트럼프과 푸틴의 신동맹: 우크라이나 평화협정 전쟁 사회학: 민족 위신과 문화적 경험 역사 사회학자는 국제정치 문제를 다룰 때 전쟁의 역사적 배경이나 국가의 문제를 정치학자와는 다르게 본다. 전쟁 사회학에서 베버가 분석한 연방-국가내지 민족주의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문화적 공동체와 정치적 연합으로서의 국가가 융합될 때, 영토 방어를 위한 군사제도와 사회체제를 유지하는 관료제의 지배방식 그리고 국가권력이 강화된다. 정치 엘리트들이 민족이념을 확립하고 확장시켜 나간다. 국가는 영토적으로 확정되는 신분 그룹에 의해 정치 문화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민족개념은 근대국가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근대 정치사에서 개혁이나 혁명을 통해 군주제나 귀족제로부터 권력을 획득은 시민을 이제 정치주체로 등장시킨다. 이들이 바로 근대국가의 담지자가 되며 동시에 제국주.. 2025. 2. 26.
히브리 성서와 삶의 자리 역사비평과 사회학적 삶의 자리 히브리 성서는 기원 전 1200년부터 125년 사이에 히브리어와 일부 아람어로 기록되었다. 이것은 구전 자료와 독립된 두루마리의 기록을 거쳐 문서화가 되기 시작했다. 이것은 고대 근동의 문헌과 폭 넓은 문화적 교류를 갖는다. 히브리 성서는 주전 400년경 토라와 예언서 그리고 다른 문서들로 분류되고, 오경은 핵심이 되었다. 거의 모든 예언서들은 400년 경 문서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예언서들은 토라에 보충적인 역할을 했다. 히브리 성서의 최종 작업은 주전 400년부터 주후 90년까지 진행되었다. 히브리 성서의 경전은 90년도에 팔레스티나 조그만 해안도시 얌니아에서 완성되었다 (Gottwald, The Hebrew Bible, 93).  개신교 전통에서 오경에 대한 역사비평은.. 2025. 2. 9.
전승사와 담론의 사회학 종교연구: 담론의 사회화   에밀 뒤르캠은 종교의 잡단적 표상과 제의적 수행을 통해 종교의 영혼을 사회의 이념으로 말한다. 신앙 공동체는 사회안에서 거룩의 이념을 문화 가치화하면서 유기적 도덕감을 형성한다. 그런가하면 베버는 종교를 다룰 때 문화와 도덕적 가치를 사회계층이나 구조 안에서 폭넓은 물질적 이해관계에서 분석하고, 그러한 선택적 친화력을 이념형으로 검토한다.이후 사회학적 연구는 사회계층 안에서 드러나는 권력과 특권 (렌스키) 또는 지식과 권력관계 안에서 드러나는 담론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푸코) 등으로 발전된다. 인식론적인 방향과 목적에서 차이가 나타나지만, 하나의 공감대는 종교를 더 이상 심리학적으로 환원시키지 않는다.      종교적 이념을 통해 공공신학이 물질적 이해와 권력관계 담론의 정당.. 2025. 2. 9.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