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6

공공신학이란 ? https://www.youtube.com/watch?v=PtMNumsKIJY https://www.youtube.com/watch?v=xZDN2PUDqI8 https://www.youtube.com/watch?v=Z-nxwtARqgk 2023. 3. 30.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 안내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는 이러한 일을 목표로 합니다. 1. 센터는 공론장에서 신학의 공공성을 인문 사회과학과의 대화 및 협력을 통해 모색한다. 2. 센터는 학제적 소통을 기초로 정치, 경제, 문화, 종교 영역에서 '공공선'과 '연대' 그리고 '인정정치'를 추구한다. 3. 센터는 세계적 차원의 공공신학과 교류를 적극 추진한다. 이를 위해 자연과학과 유전공학 그리고 기술 진보에서 나타나는 신체 정치학과 기후 변화를 병행 연구한다. 4. 센터는 에큐메니컬(ecumenical; 교회 일치) 정신을 터 삼아 한국 교회에서 '신학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데 헌신한다 . 이러한 일환으로 학술 세미나를 개최하고, 목회자들을 공공지성인으로 함양 시킨다. 이사장 이종원 목사 원장 정승훈 박사 *칼 바르트의 신학은 자.. 2023. 3. 30.
이병옥 논찬: 개혁교회 소명론과 막스 베버 이병옥 교수 장신대 선교학 교수 미네소타 루터 신학대학원 선교학 박사 장신대 부설 남북한 평화 신학 연구소장 Missional Church Conversation 네트워크에 관여하며, 공공신학과 선교학의 관계를 칼 바르트와 임마누엘 레비나스를 통해 발전 시키고 있다. 임창세 박사의 “개혁교회 소명론과 막스 베버”에 대한 논찬 이병옥 교수(장신대, 선교학) 논찬자가 볼 때, 목회자이면서 학자이고 학자이면서 목회자인 발표자 임창세 박사(이하, 임창세)의 논문은 자신의 목회 현장의 고민과 학문적 여정의 교차점에서 비롯되었다. 발표자가 서론에서 제시하듯이,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한국교회에 필요한 마을목회와 공공신학을 만들어가기 위해서 한국교회가 견지하고 있는 소명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정비 및 정립을 할 필요성.. 2023. 3. 30.
양운덕 발제(1): 카테콘과 메시야 사이에서 양운덕 박사 고려 대학교에서 헤겔철학으로 박사학위 고려대 교양 교육원 연구 교수및 철학 연구부 교수 역임 현 필로소피아 연구소 대표 저서: 등이 있다. 카테콘과 메시아 사이에서 : 아감벤의 비잠재성으로 본 바울과 벤야민 이 글은 아감벤의 비잠제성의 틀로 바울과 벤야민의 메시아적 사고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다음 세 질문에 답한다. 가) 메시아는 언제 오는가? “악의 신비”(「데살로니가 후서」 2장)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나) 바울의 메시아적 상황에서 어떻게 율법의 정지가 그 완성을 가능하게 하는가? 다) 벤야민의 메시아적 사고에서 ‘참된’ 예외 상태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다-1) 어떻게 법의 문을 닫을 수 있는가? 들어가면서 메시아는 언제 오는가? 가) 보통 메시아는 마지막 날, 시간의.. 2023. 3. 30.
임창세 발제 (1): 개혁교회 소명론과 막스 베버 임창세 박사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 소장 독일 보쿰 대학에서 교리신학을 연구하고 과학신학으로 박사학위 개혁교회 전통에서 공공신학을 막스 베버 사회학과 더불어 발전시키고 있다. 현. 용산 제일교회 담임목사 개혁교회의 소명론과 막스 베버 들어가는 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교회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코로나와 함께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상실과 맞물려 예배참석인원이 극감하고 전도와 선교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지역사회와 연대와 소통을 지향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마을목회’이다. 마을목회는 지역공동체 안에서 하나님 나라의 비전을 발견하고 그것을 실천하는 목회를 말한다. 한국사회의 현실이 마을목회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한국 사.. 2023. 3. 30.
정승훈 발제(2): 하버마스와 벤야민 하버마스와 벤야민의 계보학하버마스에 의하면, 벤야민은 역사철학에서 메시야 이념안에서 과거가 구원을 필요한다고 본다. 벤야민은 역사를 영향사의 지속성에서 파악하는 하이데거 해석학에 긍정하지 않는다. 벤야민의 역사철학은 진보신념에 저항하는 반-진화론적인 입장에 서 있다 ("Walter Benjamin", 347). 진보사상은 벤야민에게는 참을 수 없는 것이며, 묵시적인 재난과 파국에 직면하며, 구원을 필요로한다. 벤야민은 메시야가 개입하는 지금시간(Jetztzeit)을 통해 역사를 충만하게 한다. 모든 세대마다 희미한 메시야적 능력이 더불어 존재한다 (ibid., 348). 벤야민은 괴테의 소설 에 대한 그의 비평에서 내재적 비판을 개념화한다. 예술작품의 진리내용은 문학작품의 근저에 놓여있고, 문학의 외적인.. 2023. 3. 29.
정승훈 발제(1): 비판이론과 종교 정승훈 신학(스위스 바젤대학ㅡ칼 바르트와 헤겔연구)과 사회학(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및 대학ㅡ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연구)전공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 (전임강사) 워트버그 신학대학원 (조교수) 미네소타 루터신학대학원 (부교수) 시카코 루터신학대학원 (석학교수)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센터 원장 사회학적 사유와 고고학적 해석 미디어 저널 (티스토리) 편집장으로 역사사회학과 공공신학 그리고 국제정치에 대한 글을 쓰고있다. 공공신학적 반성: 위르겐 하버마스와 발터 벤야민하버마스는 1962년 교수자격취득 논문 에서 시민사회의 중요성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하고, 근대성의 미완의 과제를 언급했다. 그러나 그의 책은 1989년에 비로소 영어로 번역되었다. 27년이 지나 늦게 번역한 것은 공론장의 구조변동과 시민사회에 대한 하버마스의.. 2023. 3. 29.
정승훈 논찬: Katechon과 메시야 칼 슈미트와 조르지아 아감벤 사도 바울의 카테콘(katechon)과 정치신학은 독일의 법학자인 칼 슈미트에 의해 발전되었다. 카테콘은 억제하는 자란 뜻이며 데살로니가전서 2장 6-7절에서 나타난다. 정치철학에서 홉즈의 국가이론(리바이어던)은 슈미트에게 묵시적 차원에서 무질서를 억제하는 카테콘 정치로 출현한다. 칼 슈미트는 에서 국가주권을 사법적인 틀을 넘어서서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지배와 정치적 결단주의를 강조했다. 그리고 에서 사탄의 세력을 억제하는 카테콘을 로마제국과 이에 결부된 카톨릭으로 보았다. 슈미트는 1933년 나치정당에 가입했고, 1945년까지 베를린 대학의 법학 교수로 재직했다. 전 후 아우슈비츠 문제와 교회와 국가의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정치신학의 모델이 독일에서 위르겐 몰트만과 요한 뱁티.. 2023. 3. 29.
삼위일체와 구원: 미도트와 쉐모트 왜 이단 집단들이 발호하는가 최근 넷플렉스에서 이단 괴수들 ㅡ정명석, 이재록, 신천지의 이만희 등ㅡ과 혹세무민 하는 자들로 인해 한국 교회가 몸살을 앓는다ㅡ심지어 멀쩡하게 기존 교단의 간판을 달아놓고 교인들을 선교 훈련 시킨다는 명목으로 구타를 하고 인분을 먹였다는 보도도 있다. 자기가 새벽에 환상을 보니 아무개가 당대표가 되었다. 친구 목사에게 전화 했더니 그 친구 목사도 같은 시간에 환상을 보아서 알았다고 한다ㅡ유트브에서 떠드는 종교 사기꾼들의 소리다. 이미 도술화되고 주술화된 문화의식구조에 사로잡혀 성서에서 계시된 거룩하신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실종된다. 양복입은 무당이나 도술사 그리고 무속인들이 활개치는 세대이다. 야고보 사도는 가르치는 자들이 더 큰 무서운 심판을 당하고, 사람이 시험을 당하는 .. 2023. 3. 23.
다니엘의 "인자같은 이"와 예수(28) "인자와 같은 이" 다니엘서는 묵시의 지혜자로 간주된다 (단 2:48). 지혜는 신적인 카리스마를 담고 있으며 고대 이스라엘의 전통, 특히 요셉의 꿈 해석에서 볼 수 있다 (창 41). 예언문헌이 이스라엘 역사에 직접적인 야훼의 개입과 회개를 촉구 한다면, 묵시문헌은 모든 역사적 과정을 보편적 인 야훼주의 틀에서 객관화시키고 개념화한다. 예언의 메세지가 구원사에 초점이 있다면, 구원사는 더 이상 역사결정론적인 묵시적 세계관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일종의 인식론적 파열이 일어난다 ( Von Rad, Old Testament History II, 303). 다니엘 7장 13절의 인자와 같은 이는 히브리어의 벤 아담이나 아람어의 벤 에노쉬(ben-enosch, 시편 8:4)로 이해된다. 벤 아담의 복수형(베니욤.. 2023. 3. 18.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