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신학24 Postscript: 공공신학 강연회 By 정승훈 박사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 원장) 칼 바르트와 공공신학 센터에서 개소식 강연회를 잘 마쳤다. 능력있는 발제자들이 매우 진지하고 성실하게 주제들을 다루어주셨다. I. 기조발제: 채수일 교수, 공공신학의 좌표 설정 기조발제에서 채수일 교수 (경칭 생략)는 공공신학의 좌표를 설정하고 서구에서 위르겐 몰트만과 요한 뱁티스트 메츠의 정치신학과의 연계를 지적하고, 또한 국내에서 다루어지는 공론장의 문제를 매우 설득력있게 언급했다. 유럽에서 볼프강 후버가 교회와 공공성에대한 매우 중요한 시도를 했고, 북미에서는 막스 스택하우스에 의해 전개되었다. 공공신학이 이름 그대로 공공선이나 공적영역의 일들(res publica)을 다룬다는 점에서 공공신학의 외연은 확대될 수 가 있고 시민사회 전 영역에 걸친.. 2023. 6. 2. 명사와의 만남: 울리히 두크로(Ulrich Duchrow) 울리히 두크로(Ulrich Duchrow) 울리히 두크로는 하이델베르크에서 교수자격취득논문()을 마쳤다. 그의 논문은 루터의 두왕국론이 어떻게 히틀러 시대에 폴 알트하우스나 베르너 엘러트와 같은 에어랑엔 대학의 히틀러 지지자들에 의해 남용되었는지를 날카롭게 분석했다. 에어랑엔의 루터란 교수들은 칼 바르트와 디트리히 본회퍼의 고백교회와 을 비난하고 히틀러야말로 하나님이 주신 위대한 지도자로 추겨세우는 을 발표하기도 했다.두크로 교수는 당시 베를린 자유 대학의 헬무트 골비처의 요청으로 그의 후임자로 논의되었지만 세계교회 협의회와 루터란 세계연맹에서 신학과 사회 위원장으로 일을 했다. 그는 해방신학자 프란츠 힌켈라마르트와 더불어 세계 카이로스 네트워크 시민사회 진보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신학자로서 두크로는 세.. 2023. 5. 27. 임창세 발제(2) - Max Weber 개신교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베버는 칼빈의 구원론과 소명론이 칼빈의 후예인 청교들에게 이어져서 자본주의를 탄생시켰다고 주장한다. 칼빈신학에서 예정론이 차지하는 위치는 논란의 대상이다. 왜냐하면 칼빈의 저술에서 예정론은 각각 다르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베버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칼빈 신학의 두드러진 특징을 예정론으로 보았다. 특히 도르트레히트 종교회의와 웨스터 민스터 종교회의에서는 당시에 거세게 불고 있던 문예부흥 혹은 문화투쟁을 분쇄하기 위해서 예정론이 더욱 강조되었다. 베버에 따르면 예정론은 하나님의 절대성과 초월성을 더욱 강조하는 결과를 낳았다.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청교도의 구원과 하나님 이해는 성경의 메시지와 거리가 있다. 베버에 따르면 청교도적 예정론을 통해서 전해지는.. 2023. 4. 5. 공공신학과 헤겔의 인정철학 공공신학에서 보는 헤겔: 시민사회와 민족주의 사회로부터 개인의 삶을 보는 세 가지 비판이론적 전통이 있다. 첫 번째는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적 접근에서 볼 수 있고, 두번째는 루소와 몽테스퀴외 또는 알렉시스 토크빌에서 부터 오는 사회학적 입장이 있다. 세 번째는 에밀 뒤르캠의 종교 사회학이 제시한 집단적인 또는 구조적인 방법원리가 있다. 변증법적 비판이론은 인식론에서 프랑스의 사회학적 접근과는 현격한 차이를 보이지만, 사회로부터 인간을 보는 공동의 관점이 있다. 왜냐하면 인간보다는 사회나 역사가 우위에 서 있고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은 의식과 사유에 영향을 미쳐오는 인식론적 환경이나 문화나 역사적 배경를 피해갈 수가 없다. 사회적 관계의 총체성 또는 앙상블은 인식론적 문화의 중요성을 지적 한다. 물론 변.. 2023. 4. 4. 이전 1 2 3 4 5 6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