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공신학24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3) 편집사 비평의 사회학적 전망 전승사는 성서자료층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부각시키며 역사비평의 성과들 (본문비평, 자료비평, 양식비평, 편집비평 등)과 힘께 고고학적 발견을 포함시킨다. 물론 중요한 것은 양식 비평의 성과물들이며, 이것은 한 본문의 최초 단위가 구전적 장르 (이야기, 격언. 시편,신탁 등)에서 추적하며, 특별한 내용의 구전장르가 어떻게 가정이나 사회교육 또는 예배와 같은 삶의 자리에서 되풀이 되는 지를 본다. 그리고 전승비평과 더불어 사회학적 관심을 가진 해석가에세 세대와 세대를 거치면서 각각 다른 사회적 조건과 정치적 상황에서 자료의 전승과정과 의미 지평의 확대를 보게한다. 히브리 성서의 연대는 70인역이나 사마리아 오경과도 다르다. 창세기의 연대는2000년 이상 이지만, 신명기는 겨우 2.. 2023. 3. 10.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2) 전승사와 신앙고백 이스라엘의 역사는 하나님의 말씀의 역사적 개입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자료와 양식비평은 자료 전승의 역사를 추적하는 도구가 되는데, 여기서 게르하르트 폰 라트의 연구가 중요하다. 하나님의 구원사는 단순한 역사적 보도라기 보다는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은혜에 대한 신앙고백이며 신학적인 반성을 담고있다. 복음서가 예수의 역사적 삶을 등한시하지 않지만 신학적인 편집을 담고 있듯이, 가장 오래된 시내산 전승의 ‘삶의 자리’도 야훼의 계시에 대한 반복되는 제의적인 수행에서 드러난다.  폰 라트는 역사 비평이 이스라엘 역사에 접근하는 유일무이한 학문적 방법이라고 간주하지 않는다. 이것은 근시안적인 견해다. 전승자료들에서 역사적이고 실제적인 것은 정신적인 의미와 분리될 수 없다. 살아계신 야훼에 대한.. 2023. 3. 9.
공공신학과 마가복음 (8) 마가복음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 마가복음을 사회학적으로 읽는 것은 마가복음에서 드러나는 사회적 삶의 자리에 주목한다. 이러한 접근은 80년대 이미 게르트 타이센이 시도 했는데, 그는 초대 팔레스티나 기독교에서 나타나는 예수 운동을 1) 사회 경제적, 2) 사회 생태학적 3) 사회 정치적 4) 사회 문화적 요인들을 통해 분석했다. 물론 타이센은 나사렛 예수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지만, 그의 관심은 예수운동의 사회학에 있고, 이러한 네 가지 사회적 요인들을 순회하는 급진적인 설교자의 유형에서 파악했다 (Theissen, Sociology of Early Palestinian Christianity, 33). 도미닉 크로산은 그의 저명한 에서 문화 인류학적인 접근을 통해 예수가 자라고 활동한 갈릴리 지역을 분석.. 2023. 3. 8.
공공신학과 성서해석 (5) 바리새파는 누구였나 출바벨론의 역사적인 경험과 신명기적인 파라다임은 출애굽 사건을 해석하고 토라와 예배와 절기를 통해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 특징짓는다. 이것은 바리새파의 기원을 에스라가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귀환 할 때 동행한 그룹으로 보게도 한다 (The Talmud, trans. Bokser, 9). 그러나 마카베오에 의해 세워진 하스모니안 왕가에서 바리새파의 기원을 보는 것이 역사적으로 보다 더 정확하다. 이 그룹은 알렉산더 야네우스 통치시절 (기원전 102-76) 헬레니즘 정책에 반란을 일으켰다.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그의 아내 살로모 알렉산드라 (76-67)가 권력을 계승헸을 때 바리새파를 우대하는 정책을 썼다. 하스모니안 왕가와 바리새파 저항 정치적 발전을 고려할 때 하스모니.. 2023. 3. 1.
LIST